1994년 7월 24일에 시행한 국가직 (행자부) 7급 공무원 시험 국어 기출문제입니다.
1. "조의관에게는 평생의 오입이 몇가지 있다. 하나는 을사조약 한창통에 그 때 돈이만냥 지금 돈으로 사백원을 내놓고 사십여세에 육과자를 붙인 것이다." 는 어느 소설의 일부인가?
1) 표본실의 청개구리
2) 만세전
3) 삼대
4) 두 파산
2. 다음 중 "악장"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신흥사대부와 승려에 의해 창작됨
2) 남녀상열지사라 하여 비판됨
3) 모두 4음보의 율격을 가졌음
4) 국가적 행사에서 많이 불리어짐
3. 고대소설의 작가와 작품이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김시습 - 금오신화
2) 박지원 - 양반전
3) 김만중 - 구운몽
4) 남효은 - 창선감의록
4. 다음 문장의 빈 곳에 알맞은 한자는?
( )善之家必有餘慶 ( )惡之家必有餘殃 |
2) 積
3) 籍
4) 寂
5. 밑줄친 글자 중에서 반드시 두음법칙에 따라 적어야 할 것은?
1) 신립 (사람이름)
2) 대한교련 (`대한교육연합회'의 준말)
3) 연리율(年利率)
4) 광한루 (廣寒樓)
6. 이상화의 시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에서 민족적 친화감이 가장 절실하게 표현된 부분은?
1) 푸른 하늘 푸른 들이 맞붙은 곳으로 걸어만 간다.
2) 아주까리 기름을 바른 이가 지심매던 그들이라 다 보고 싶다.
3) 네가 끌었느냐 누가 부르더냐 답답하여라, 말을 해다오.
4) 무엇을 찾느냐, 어디로 가느냐, 우습다 답을 하려므나
7. 훈민정음의 중성배열에서 세번째 오는 것은?
1) ㅡ
2) ㅣ
3) ·
4) ㅓ
8. "도적이 도리어 채찍을 든다"는 말을 한자로 바르게 쓴 것은?
1) 適反荷丈
2) 賊反荷杖
3) 適反何長
4) 賊叛何杖
9. "He 와 She를 모두 `그'라고 하여 보편적으로 사용해 버린 그 때의 용기는 지금 생각해도 장쾌하였다."는 누구의 말인가?
1) 이인직
2) 이광수
3) 김동인
4) 현진건
10. 고려시대의 언어를 아는데 귀중한 문헌은?
1) 동국정운
2) 필원잡기
3) 계림유사
4) 훈몽자회
11. 관점에 따른 문학장르의 구분으로 옳은 것은?
1) 대상과 그의 파악및 표현방식에 따라 서사시, 극시, 서정시 등으로 나뉜다.
2) 작품의 형식에 의해 비극, 희극, 희비극 등으로 나뉜다.
3) 소재에 의하여 정형시, 자유시, 산문시 등으로 나뉜다.
4) 내용 또는 미적 성격에 따라 연애시, 자연시, 사회시 등으로 나뉜다.
12. 다음 중 우리나라의 훈민정음 이전 시대의 표기법인 향찰의 예는?
1) 天地之問 萬物之中涯
2) 天前誓
3) 必于 七出乙 犯爲法乃
4) 東京 明期月良
13. 다음 소설의 인물유형에 대한 설명 중 `개성적 인물'에 속하는 것은?
1) 한 작품 속에서 성격이 변화하지 않는 인물
2) 사회의 어떤 집단이나 계층을 대표하는 인물
3) 한 작품 속에서 성격이 발전하고 변화하는 인물
4) 다른 사람으로 대체할 수 없는 유일한 인물
14. 한자를 바르게 읽은 것은?
1) 破綻 (파정)
2) 幹旋 (간선)
3) 先瑩 (선영)
4) 甦生 (갱생)
15. 15세기에 `불'로 표기했던 것은 현재 `불'로 변하였다. 이런 음운현상은?
1) 원순모음화
2) 어화현상
3) 축약
4) 모음충돌 회피
16. 판소리를 설명한 내용 중 틀린 것은?
1) 판소리의 발생기는 조선조 성종 무렵이다.
2) 판소리 광대가 임금 앞에서 소리를 하고 관직을 받은 예도 있다.
3) 신재효와 이해조는 판소리 사설을 개작 했다.
4) 판소리는 상하층의 의식을 함께 나타낸다.
17. 首丘初心의 뜻과 상통하는 것은?
1) 一絲不亂
2) 狐死首丘
3) 狐假虎威
4) 一瀉千里
18. 사이시옷 표기가 틀리는 것은?
1) 곳간 (庫間)
2) 셋방 (貰房)
3) 찻간 (車間)
4) 갓법 (加法)
19. "문경지교"의 올바른 한자어는?
1) 問頸之交
2) 問鏡之交
3) 刎頸之交
4) 刎鏡之交
20. `살뜰하다'의 풀이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명랑하고 품위가 있다.
2) 넉넉하고 풍족하다.
3) 규모가 있고 착실하다.
4) 깨끗하고 순진하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