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 9월 7일에 시행한 국가직 7급 공무원 시험 회계학 기출문제입니다.
[문제1] 형식적 증자의 유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액면가 이하의 주식발행
② 법정준비금의 자본전입
③ 주식배당
④ 전환사채의 전환
액면가 이하로 주식을 할인발행하는 것은 실질적 증자이다.
답은 ①
답은 ①
[문제2] 한국상사는 2004년 1월 1일 장부가액이 ₩288,000인 기계를 매각하고, 2007년 1월 1일 만기인 액면 ₩360,000의 무이자부 약속어음을 수취하였다. 수취당시 시장이자율은 10%이며, 기간 3년인 ₩1에 대한 현재가치는 0.75, 연금 ₩1에 대한 현재가치는 2.49이다. 이 거래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2004년도 손익계산서에 보고되는 기계처분손실은 ₩18,000이다.
② 2004년 12월 31일 현재 대차대조표에 보고되는 현재가치할인차금은 ₩60,000이다.
③ 2004년 12월 31일 현재 대차대조표에 보고되는 장기미수금의 장부가액은 ₩297,000이다.
④ 유효이자율법을 적용할 경우, 2004년도 손익계산서에 보고되는 이자수익은 ₩27,000이다.
[문제3] 6월 5일에 3명의 고객 A, B, C에게 ₩1,000의 상품을 각각 판매하였는데, 할인조건은 2/10, n/30이다. 고객 A는 6월 14일에 대금을 지급했고, 고객 B는 6월 28일에 지급했다. 이 회사의 결산일은 6월 31일인데, 고객 C는 6월 31일까지 아직 지급하지 않았다. 고객 C는 이것을 7월 4일에 지급했다. 총액법에 의한 분개의 경우 6월 5일과 6월 14일에 나타나는 차변이 바르게 된 것은?
① 6/5 - 매출채권 2,9406/14 - 현금 980
② 6/5 - 매출채권 3,0006/14 - 현금 1,000
③ 6/5 - 매출채권 2,9006/14 - 현금 980, 매출할인 20
④ 6/5 - 매출채권 3,0006/14 - 현금 980, 매출할인 20
[문제4] 주식분할(stock split)과 주식배당(stock dividend)에 대해 회계적 측면에서 서로 대비하여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두 경우 모두 자기자분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별도의 회계처리(분개 등)가 필요없다.
② 주식분할은 자본의 크기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주식배당은 자본금을 증가시킨다.
③ 두 경우 모두 이미 발행되어 있는 주식 수는 늘어난다.
④ 주식분할은 이익잉여금의 크기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주식배당은 이익잉여금의 크기를 변화시킨다.
[문제5] 2002년도에 설립한 한국상사의 회계자료는 다음과 같다. 이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보통주의 발행으로 조달된 금액 | ₩200,000 | 외상매출액 | ₩440,000 |
---|---|---|---|
차입금 조달액 | ₩140,000 | 매출채권 회수액 | ₩360,000 |
상품구입 지급액 | ₩240,000 | 유형자산 감가상각비 | ₩30,000 |
차입금 상환액 | ₩16,000 | 법인세 지급액 | ₩50,000 |
유형자산의 현금구입액 | ₩160,000 | 매출원가 | ₩280,000 |
② 재무활동으로 인한 순현금은 ₩324,000
③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은 ₩70,000
④ 기말 현재의 현금잔액은 ₩194,000
[문제6] 2002년 5월에 상장회사인 삼일전기(주)의 주식 3,000주를 거래시장을 통하여 주당 ₩10,000에 구입하였고, 이 중 1,000주를 6월에 주당 ₩15,000에 처분하였으며, 9월에는 주당 ₩9,000에 1,000주를 처분하였다. 회계기말인 2002년 12월 31일 현재의 삼일전기(주)의 종가는 ₩12,000이다. 12월 31일 현재 행할 수정분개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① (차) 단 기 매 매 증 권 6,000,000(대) 단기매매증권평가충당금 6,000,000
② (차) 단 기 매 매 증 권 2,000,000(대) 단기매매증권평가이익 2,000,000
③ (차) 단 기 매 매 증 권 6,000,000(대) 단기매매증권평가이익 6,000,000
④ (차) 단 기 매 매 증 권 2,000,000(대) 단기매매증권처분이익 2,000,000
[문제7] 동의상사는 신라회사가 2003년 1월 1일 발행한 액면가액 ₩100,000의 사채(이자율 연 12%, 이자지급 매년말, 만기 3년)를 2003년 3월 1일에 현금 ₩97,000에 단기투자목적으로 구입하였다. 이 때 올바른 분개는?
(1) 기발생 액면이자(경과이자) : 100,000×12%×2/12=₩2,000
(2) 회계처리
(차) 미수이자 2,000 (대) 현 금 97,000
단기매매증권 95,000
(2) 회계처리
(차) 미수이자 2,000 (대) 현 금 97,000
단기매매증권 95,000
[문제8] 작년과 올해의 매출액에 변화가 없고 작년 기초, 기말 재고자산의 금액과 올해 기말재고자산의 금액이 변화가 없는데 불구하고, 올해 재고자산회전율이 작년보다 크게 감소하였다. 다음 중 재고자산회전율이 감소하게 된 원인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다만, 재고자산회전율은 (매출원가/평균재고자산)으로 정의한다.]
① 올해의 매출채권 금액이 증가하였다.
② 올해 매출총이익률이 증가하였다.
③ 올해 매출원가가 증가하였다.
④ 올해 유동비율이 감소하였다.
매출원가 감소(매출총이익 증가) → 재고자산회전율 감소
[문제9] 국고보조금 및 공사부담금과 관련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공사부담금이란 설비시설원가 중 일부를 실수요자에게 부담시키는 금액을 말한다.
② 현행기업회계기준에 의하면 자본잉여금으로 처리된다.
③ 이들 항목은 당해 유형자산의 차감항목으로 표시되며 내용년수에 걸쳐 감가상각비와 상계된다.
④ 당해 유형자산의 처분시 국고보조금이나 공사부담금 잔액은 해당 유형자산의 처분손익에 차감 또는 부가된다.
② 국고보조금 및 공사부담금은 취득자산에 대한 차감적 평가계정으로 기록한다.
[문제10] 다음은 한국회사의 2002년 10월 중 상품재고장의 기록내용이다. 평균법과 실지재고조사법을 적용한다면 매출원가는?
① ₩1,770
② ₩1,700
③ ₩1,650
④ ₩1,950
(1) 평균법+실지재고조사법=총평균법
(2) 총평균단가 : {(100개×₩10)+(100개×₩12)+(50개×₩15)}÷(100개+100개+50개)=@₩11.80
(3) 매출원가 : 150개×@₩11.80=₩1,770
(2) 총평균단가 : {(100개×₩10)+(100개×₩12)+(50개×₩15)}÷(100개+100개+50개)=@₩11.80
(3) 매출원가 : 150개×@₩11.80=₩1,770
[문제11] 회계정보는 목적적합성과 신뢰성을 갖추어야 하나, 이들간에는 상충되는 측면이 있다. 다음 중 목적적합성과 신뢰성 간의 상충관계로 보기 어려운 짝은?
① 현행원가 대 역사적원가
② 발생주의 대 현금주의
③ 진행기준 대 완성기준
④ 표현의 충실성 대 중립성
④ 표현의 충실성과 중립성, 검증가능성은 신뢰성의 구성요소이다.
[문제12] 발생주의 당기순이익이 ₩150,000인 경우 다음 자료만을 고려할 때 현금주의 당기순이익은?
구 분 | 기 초 | 기 말 |
---|---|---|
매 출 채 권 | ₩50,000 | ₩60,000 |
재 고 자 산 | ₩70,000 | ₩30,000 |
매 입 채 무 | ₩20,000 | ₩40,000 |
② ₩200,000
③ ₩250,000
④ ₩230,000
[문제13] 기초재고 및 당기매입 재고자산에 대한 회계처리는 적절히 하였으나, 기말재고자산을 100 과대평가하였다. 이러한 오류가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을 가장 적절히 설명한 것은?
① 당기의 매출원가는 ₩100 과대계상되고, 차기의 매출원가는 동액만큼 과소계상된다.
② 당기의 재고자산은 ₩100 과대보고되나, 차기의 재무제표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③ 당기의 순이익은 ₩100 과대보고되나, 차기의 순이익은 동액만큼 과소보고된다.
④ 당기의 순이익은 ₩100 과대보고되나, 차기의 재무제표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당기 기말재고 과대 → 당기 매출원가 과소 → 당기의 순이익 과대
차기 기초재고 과대 → 차기 매출원가 과대 → 차기의 순이익 과소
차기 기초재고 과대 → 차기 매출원가 과대 → 차기의 순이익 과소
[문제14] 다음은 (주)A기업의 매출채권에 대한 자료이다. (주)A기업이 2003년 말에 손익계산서에 인식해야 할 대손상각비는?
· 2003년 1월 1일의 대손충당금 잔액은 ₩120,000이다. · 2003년 6월에 당기에 판매하였던 외상매출금 ₩30,000과 전기에 판매하였던 외상매출금 ₩50,000이 회수불능채권으로 판명되었다. · 2003년 9월에 이미 대손처리되었던 외상매출금 ₩70,000을 회수하였는데, 이중 ₩30,000은 당기에 대손처리하였던 외상매출금이며, ₩40,000은 전기에 대손처리하였던 외상매출금이다. · 2003년 12월 31일 외상매출금 잔액은 ₩3,000,000이며, 이중에서 ₩100,000이 회수불능으로 판명되었다. · 2003년 12월 31일 나머지 외상매출금 잔액에 대하여 3%의 대손을 추정하다. |
② ₩74,000
③ ₩72,000
④ ₩71,000
[문제15] 기말의 수정분개와 관련성이 낮은 것은?
① 기말재고자산, 미수수익
② 선급금, 선수금
③ 대손충당금, 외화환산이익
④ 감가상각비, 단기매매증권평가손실
② 선급금, 선수금은 기말의 수정분개와 관련성이 낮다.
[문제16] 강남상회의 기말자산총액이 ₩245,000이고, 기말부채총액이 ₩110,000이며, 기중의 수익총액이 ₩650,000이고, 비용총액이 ₩665,000이며, 기초의 자산총액이 ₩250,000이었다고 하면, 기초의 총부채액은?
① ₩85,000
② ₩115,000
③ ₩135,000
④ ₩100,000
기말자본 : 기말자산 - 기말부채 = 245,000 - 110,000 = ₩135,000
당기순손실 : 총비용 - 총수익 = 665,000 - 650,000 = ₩15,000
기초자본 : 기말자본 + 당기순손실 = 135,000 + 15,000 = ₩150,000
기초부채 : 기초자산 - 기초자본 = 250,000 - 150,000 = ₩100,000
당기순손실 : 총비용 - 총수익 = 665,000 - 650,000 = ₩15,000
기초자본 : 기말자본 + 당기순손실 = 135,000 + 15,000 = ₩150,000
기초부채 : 기초자산 - 기초자본 = 250,000 - 150,000 = ₩100,000
[문제17] 기말에 미지급이자의 분개를 누락한 경우 다음 각 항목에 미치는 영향은?
비용 | 부채 | 순이익 | 자본 | |
---|---|---|---|---|
① | 과대 | 과소 | 과대 | 과소 |
② | 과대 | 과대 | 과소 | 과소 |
③ | 과소 | 과대 | 과소 | 영향없음 |
④ | 과소 | 과소 | 과대 | 과대 |
미지급이자 : (차) 이 자 비 용 ××× (대) 미지급이자 ×××
따라서 미지급이자를 누락하면, 비용과소와 부채과소 → 순이익 과대 → 자본과대
따라서 미지급이자를 누락하면, 비용과소와 부채과소 → 순이익 과대 → 자본과대
[문제18] (주)甲乙은 다음과 같은 단기매매증권을 보유하고 있다. (주)甲乙은 2003년 중에 B사 주식 중 50%를 ₩300,000에 매각하였으며, C사 주식 전부를 ₩820,000에 매각하였다. 기업회계기준에 의할 경우 이들 유가증권과 관련하여 2003년도의 손익계산서에 영향을 미치는 금액은?(다만, 이익과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 상계하여 순액으로 계산한다.)
① ₩44,000(이익)
② ₩34,000(이익)
③ ₩24,000(이익)
④ ₩14,000(이익)
[문제19] S회사는 1994년 5월 1일 새로운 기계를 ₩25,000,000에 매입했다. 취득시 기계의 추정내용년수는 10년이며, 추정잔존가액은 ₩1,000,000이다. 이 회사는 기계에 대한 감가상각을 매월 정액법으로 기록해 왔다. 2003년 3월 1일에 이 기계는 ₩800,000에 처분되었다. 이 기계의 처분에 관련된 손실은?
① ₩0
② ₩2,000,000
③ ₩2,800,000
④ ₩3,000,000
처분시 감가상각누계액(1994. 5. 1 ~ 2003. 3. 1 : 8년 10개월 = 106개월)
(25,000,000-1,000,000)×106개월/120개월=₩21,200,000
처분시 장부가액 : 25,000,000-21,200,000=₩3,800,000
처분손실 : 800,000-3,800,000=(-)₩3,000,000
(25,000,000-1,000,000)×106개월/120개월=₩21,200,000
처분시 장부가액 : 25,000,000-21,200,000=₩3,800,000
처분손실 : 800,000-3,800,000=(-)₩3,000,000
[문제20] 화재보험에 가입된 건물(취득원가 ₩10,000, 감가상각누계액 ₩3,000)이 소실되어 보험회사에 보험금을 청구한 바, 보험회사로부터 보험금지급금액이 ₩6,000으로 결정되었다는 통지를 받았다. 다음 중 보험금결정통지를 받은 날의 회계처리로 옳은 것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