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6월 28일에 시행한 서울시 7급 공무원 시험 환경계획 기출문제 입니다.


1. 기존의 일반적 계획방법과 환경계획방법과의 비교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계획수립 단계에서 기존의 일반적 계획방법에서는 환경에 대한 고려보다는 개발지향적인 구상안을 수립해 왔다.

② 환경계획방법의 조사 단계에서는 해당지역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주변지역을 포함해 유역권 전체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한다.

③ 조사결과의 DB구축으로 토지생태분석의 토대 마련 및 개발구상 수립 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은 두 방법의 공통적 특징이다.

④ 경관의 기능 및 구조분석을 통한 생태계의 흐름을 파악하는 것은 환경계획의 접근방법에서 매우 중요하다.

⑤ 환경계획 시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하여 계획 및 설계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환경 관련 사항을 제시하여야 한다.


2. 환경문제와 관련된 중요한 국제기구 중 아래 내용이 설명하는 것은?
유럽, 북미, 아시아 등의 40여 개국이 참여하는 비정부기구로, 1971년 미국 알래스카에서 실시된 지하핵실험 반대를 위해 보트를 타고 항해를 하면서 시작되었다.
① 유엔환경계획(UN Environmental Program)
② 세계자연보호기금(World Wildlife Fund)
③ 지구환경기금(Global Environment Facility)
④ 지속발전 위원회(Commission on Sustainable Development)
⑤ 그린피스(Greenpeace)


3. 생태건축계획과 직접적으로 관계없는 것은?
① 기후에 적합한 건축
② 적절한 건축재료 선정
③ 에너지 손실 방지 및 보존을 고려
④ 공급과 처리의 중앙집중식 시스템
⑤ 물질 순환 체제 고려


4. 다음 중 지구단위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 기술된 것은?
① 토지이용을 합리화하고 기능을 증진시키며 미관을 개선하고 양호한 환경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립한다.

② 용도지역이나 용도지구를 세분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③ 건축물의 용도제한, 건폐율, 용적률 및 건축물 높이의 최고한도 또는 최저한도를 제한할 수 있다.

④ 건축물의 배치·형태·색채 또는 건축선에 관한 계획을 포함할 수 있다.

⑤ 구역지정에 관한 결정의 고시일부터 1년 이내에 계획이 결정·고시되지 아니하면 구역지정은 효력을 잃는다.


5. 개발사업 등에 있어서 자연경관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경관평가의 기준에 대해 옳지 않은 것은?
① 경관의 평가는 주관적 요소가 강하므로 조망점을 한 곳으로 고정하고 평가하도록 한다.

② 이용객이 많은 장소를 고려하여 조망점을 선정하고, 지역주민의 의견을 수렴하도록 한다.

③ 특별한 가치를 지닌 경관이 보이는 지역, 지역 자연경관 특성이 조망되는 지역을 중심으로 평가한다.

④ 기존 경관 변화가 현저한 최대 절·성토고가 조망되는 지점이 포함되어야 한다.

⑤ 배후 녹지가 가려지거나 자연지형 스카이라인과의 조화여부가 비교될 수 있어야 한다.


6. 환경계획의 영역적 분류에 있어서, 풍경, 경관정서, 의미의 분석이나 해석 그리고 조닝과 경관지역의 의미를 주는 형태에 초점이 맞추어지는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은 무엇인가?
① 오염관리계획
② 심미적 환경계획
③ 생태환경계획
④ 환경자원관리계획
⑤ 환경시설계획


7. 식생과 야생동·식물 등 자연현황을 종합하여 토지를 등급화한 생태·자연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자연환경을 생태적 가치, 자연성, 경관적 가치 등에 따라 등급화한 지도이다.
② 기본축척은 1:25,000이다.
③ 1~3등급의 3가지 부문으로 구분한다.
④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주된 서식지나 도래지는 1등급 권역이다.
⑤ 개발 또는 이용의 대상이 되는 지역은 3등급 권역이다.


8. 다음은 생태 네트워크 조성계획 및 연구에 관한 국내·외 현황 및 사례이다.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일본 - 요코하마의 그린매트릭스
② 스페인 - 마드리드의 생태 네트워크 설계
③ 독일 - 슈트가르트의 비오톱(서식처) 네트워크
④ 미국 - EECONET, Natural 2000
⑤ 한국 - 양평군 두물머리 생태 네트워크


9. 다음 중 상위계획을 수립할 때 환경보전계획과의 부합 여부 확인 및 대안의 설정·분석 등을 통하여 환경적 측면에서 해당 계획의 적정성 및 입지의 타당성 등을 검토하는 「환경영향평가법」에 규정된 현행 제도는 무엇인가?
① 소규모 환경영향평가
② 전략환경영향평가
③ 환경영향평가
④ 환경영향검토
⑤ 사전환경성검토


10. 생태하천복원에 관한 설명 중 사실과 다른 것은?
① 도심 하천의 물길 회복 및 생태공간 조성을 위해 도시 내 모든 복개천을 복원한다.

② 생태하천복원을 위해서는 수생태계 건강성의 회복에 초점을 두고 사업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③ 하천별 특성을 살리기 위해 해당 하천의 과거, 현재, 미래를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과거 하천의 모습은 인공위성, 역사적 문헌, 고령자의 증언 등을 통해 파악한다.

④ 생태하천복원사업이란 수질이 오염되거나 생태계가 훼손 또는 교란된 하천의 생태적 건강성을 회복하는 사업을 말한다.

⑤ 복원하고자 하는 대상 하천 전체의 유역 특성에 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여야 한다.


11. 다음 중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한 공원 중 주제공원에 해당하는 것은?
① 소공원
② 근린공원
③ 수변공원
④ 생활권공원
⑤ 어린이공원


12. 환경친화적 도시계획에 있어서 포괄적으로 사용되는 어메니티 플랜(amenity plan)에 대한 다음 설명 가운데 옳지 않은 것은?
① 인간의 요구나 욕망이 충족되는 행복이나 복지를 지향하는 종합적인 환경을 고려한 계획이다.

② 실시계획의 성격보다는 기본적인 방향이며 시민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합의를 중시한다.

③ 불쾌함을 유발하는 것을 제거하는 데에서 출발하여 쾌적한 요소를 보호·육성한다.

④ 지역의 깨끗함과 조용함, 자연과의 공생 및 친근함, 아름다움과 여유로움, 역사와 문화를 고려하여 기본 방향을 설정한다.

⑤ 소득 향상과 같은 요소와 분리되어야 하며 경제적 가치를 갖지 않는 중립적인 계획이다.


13. 우리나라 「지방의제21」에 관한 내용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행정기관 주도의 적극적인 참여와 리더십
② NGO중심의 파트너십에 기초한 녹색 거버넌스
③ 지방분권화 시대 상향식 계획 및 실천 수단
④ 1997년 4월 환경부가 「지방의제21 작성지침」을 보급
⑤ 기초단위의 시민운동이자 녹색공동체


14. 다음 중 「자연환경보전법」에서 정하고 있는 자연환경보전의 기본원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자연환경은 모든 국민의 자산으로서 공익에 적합하게 보전되고 현재와 장래의 세대를 위하여 지속가능하게 이용되어야 한다.

② 모든 국민이 자연환경보전에 참여하고 자연환경을 건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기회가 증진되어야 한다.

③ 자연환경보전에 따르는 혜택은 모든 국민에게 공평하게 배분되어야 한다.

④ 자연환경보전은 국토의 이용과 조화·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⑤ 자연생태와 자연경관이 파괴·훼손되거나 침해되는 때에는 최대한 복원·복구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15. 환경지표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환경의 상태나 환경정책의 추진상황을 측정하는 것이다.
② 여러 개의 자료로부터 선정된 대표값으로 표현되는 형태만 존재한다.
③ 환경지표의 용도는 환경계획의 추진, 환경을 배려한 정책·사업의 추진, 커뮤니케이션의 추진 등이다.
④ 자연환경보전관련지표, 도시지속성지표는 주요 환경지표 중 하나이다.
⑤ 환경에 관한 어떤 상태를 가능한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16. 다음 국가환경종합계획에 관해 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환경부장관은 관계 중앙 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국가환경종합계획을 5년마다 수립한다.

② 환경부장관은 국가환경종합계획을 수립하거나 변경하려면 그 초안을 마련하여 공청회 등을 열어 국민, 관계 전문가 등의 의견을 수렴한 후 국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한다.

③ 환경부장관은 국가환경종합계획의 종합적·체계적 추진을 위하여 3년마다 환경보전중기종합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④ 시·도지사는 국가환경종합계획 및 환경보전중기종합계획에 따라 관할 구역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해당 시·도의 환경보전계획을 수립·시행하여야 한다.

⑤ 국토환경지표는 국토환경의 개발 상태와 개발에 의한 변화를 측정하는 동시에 평가수단이며, 국가적 차원에서 국토환경 보전의 장기적인 비전과 정책방향을 제시한다.


17. 다음 중 국토교통부장관, 시·도지사, 또는 인구 50만 이상 대도시의 시장이 도시·군관리계획으로 세분하여 지정할 수 있는 용도지역과 그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제1종 전용주거지역 - 단독주택 중심의 양호한 주거환경을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역

② 제2종 일반주거지역 - 중층주택을 중심으로 편리한 주거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역

③ 중심상업지역 - 도심·부도심의 상업기능 및 업무기능의 확충을 위하여 필요한 지역

④ 준공업지역 - 환경을 저해하지 아니하는 공업의 배치를 위하여 필요한 지역

⑤ 생산녹지지역 - 주로 농업적 생산을 위하여 개발을 유보할 필요가 있는 지역


18. 도로건설 시 환경성을 제고하기 위한 고려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대규모의 지형변화를 가져오는 땅깎기, 흙쌓기를 최소화하여야 한다.

② 상수원보호구역, 수변구역 등 수질보전 관련지역은 수변경관을 고려하여 최대한 인접하여 계획한다.

③ 생태적·환경적 보전가치가 있는 지역 및 생태계의 존재 여부를 파악하고 보전대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④ 동물 서식지 훼손이나 동물 이동로의 단절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⑤ 주거지역과 인접하여 운영 중인 도로 및 개설계획이 수립된 지역의 경우 도로의 추가 건설로 인한 환경상 악영향 누적여부 및 대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19. 다음 중 생태통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포유류가 지나가는 터널형 생태통로를 설치할 때는 천적에 노출되지 않고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최대한 좁게 설치하여야 한다.

② 야생동물을 생태통로까지 안전하게 유도하기 위한 유도울타리를 설치하여야 한다.

③ 생태통로 진입부와 내부의 식생은 주변과 유사한 수종으로 과밀하지 않게 식재하여야 한다.

④ 생태통로란 도로 및 철도 등에 의하여 단절된 생태계의 연결 및 야생동물의 이동을 위한 인공구조물이다.

⑤ 야생동물과 보행자의 동선을 성토와 식재 등의 기법을 통해 공간적으로 분리하여야 한다.


20. 환경계획에 있어서 지속가능개발(ESSD)의 개념을 일반적인 개발(난개발)과 비교하였을 때,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일반적인 개발이 물리적 수용능력의 범위 내에서만 수용인구를 산정하는 반면, 지속가능개발은 환경용량의 범위 내에서만 수용능력을 판단한다.

② 일반적인 개발의 계획기준은 획일적인 반면, 지속가능개발의 계획기준은 도시나 지역특성을 고려하므로 다양하다.

③ 일반적인 개발에서는 교량접근(trade-off approach)법이나 분야별접근(sectoral approach)법을 사용하는 반면, 지속가능개발은 환경한계적이고 통합적인 접근을 시도한다.

④ 일반적인 개발의 경우 환경에 대한 의무이행이 획일적인 반면, 지속가능개발에서는 차등적인 환경의무 이행을 요구한다.

⑤ 일반적인 개발의 경우 적절한 기반시설과 기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나, 지속가능개발의 경우는 이들 기능이 미흡해질 수 있다.






문제 PDF 새탭에서 보기
문제 PDF 다운로드
정답 XLS 다운로드
정답 PDF 다운로드

댓글 쓰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