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4년 4월 24일에 시행한 국가직 (행자부) 9급 공무원 시험 국어 기출문제입니다.


1. 다음 글의 논지로 알맞은 것은?
학문이 실생활에 유용한 것도, 그 자체의 추궁(追窮)이 즐거움을 가져오는 것도, 모두가 학문이 다름 아닌 진리를 탐구(探究)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실용적이니까, 또는 재미가 나는 것이니까 진리요 학문인 것이 아니라, 그것이 진리이기 때문에 민간생활에 유용한 것이요, 재미도 나는 것이다. 유용하다든지 재미가 난다는 것은 학문에 있어서 부차적으로 따라올 성질의 것이요. 그것이 곧 궁극적이라고까지 말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1) 학문의 목적은 진리 탐구에 있다.
2) 학문의 실생활에의 유용성을 추구하는 것이다.
3) 진리 탐구 자체는 부차적인 것이다.
4) 학문의 즐거움은 유동성에서 온다.


2. 아래 시에서 김상용의 「남으로 창을 내겠소」中 "왜 사냐건 웃지요"라는 구절과 의미가 일맥상통하는 부분은?
問余何事捿碧山
笑而不答心自閑
桃花流水杳然去
別有天地非人間
 - 李白의 「山中問答」-
1) 起句
2) 承句
3) 轉句
4) 結句


3. 다음 설명과 관계 깊은 문학 유파는?
1920년대 중반이후 문단을 주도한 카프파의 계급주의 문학을 비판하고 문학의 예술성을 주장, 실천한 유파로서, 카프파의 계급주의 문학이 지나치게 이념을 노출시킨 데 대한 반발도 일어났다.
1) 시문학파
2) 생명파
3) 모더니즘파
4) 청록파


4. 작문에 있어서 "구상"의 기능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글의 일관성을 유지하게 한다.
2) 잘못 쓰여진 글을 바로 잡게 해 준다.
3) 불필요한 내용의 반복을 막아 준다.
4) 글의 전체적인 균형을 조절해 준다.


5. 소설의 발달 과정을 바르게 보여주는 것은?
1) 설화 - 가전체 - 패관문학 - 고전소설 - 신소설
2) 설화 - 패관문학 - 가전체 - 고전소설 - 신소설
3) 민요 - 가전체 - 패관문학 - 고전소설 - 신소설
4) 민요 - 패관문학 - 가전체 - 고전소설 - 신소설


6. 아래의 글 중 ⓐ에 함축되어 있는 작자의 생각은?
황새도 영물(靈物)일까? 산골의 날씨는 무섭게 추워 지는데, 짝을 버리고 혼자 떠날 수 없었던 애절한 황새의 정, 조류(鳥類)에 따라서는 암수의 애정(愛情)이 별스러운 놈도 있지만, 그것이 모두 그들의 생태요 본능(本能)이라 했다.
그러나 ⓐ하찮은 그 본능이 오늘 따라 인간의 종교보다 더 거룩하고 예술보다 더 아름답게 느껴지는 것은 무슨 까닭인가?
1) 황새의 죽음에 대한 연민
2) 본능은 예술, 종교보다도 거룩함
3) 인간의 비정한 현실 비판
4) 황새의 사랑에 대한 예찬


7. 다음 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유일하게 전하는 고구려 가요이다.
2) `ᄃ、ᄅ'은 유유자적하는 삶의 표상으로 쓰였다.
3) `내'는 시적자아와 남편을 통일시하려는 의도가 반영된 것이다.
4) `졈그ᄅ、ᄅ셰라.'에는 감탄형 어미가 쓰였다.


8. 다음 설명과 관계 깊은 언어의 일반성은?
언어는 한 사회공동체가 공유하는 것이므로, 그 사회에서의 묵계(黙契)가 성립되지 않은 변개(變改)는 결과적으로 인간의 의사소통(意思疏通)을 입힌 표현전달(表現傳達)의 도구로서의 기능을 언어로부터 박탈하는 것이 된다.
1) 역사성
2) 사회성
3) 자의성
4) 기호성


9. 현대 국어의 특성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국어의 문장 배열은 서술어가 끝에 온다.
2) 어두(語頭)에 자음군(子音君)이 올 수 있다.
3) 문법의 관계를 나타내 주는 말이 많은 첨가어의 특질을 보여 준다.
4) 한 낱말에의 앞 음절의 모음의 종류가 다음 음절의 모음의 종류를 제한하는 수가 있다.


10. 다음 중 어법에 맞고 표현이 정확한 것은?
1) 그녀는 뚱뚱하지만 귀염성이 있다.
2) 우리들은 즐거워 노래와 춤을 추었다.
3) 우리는 항상 옳바르게 살아가야 한다.
4) 나에게 중요한 것은 열심히 공부해야 한다.


11. 다음 글의 재담구조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말뚝이: 쉬이(춤과 반주 그친다). 여보. 악공들 말씀 들으시오. 오음육율(五音六律)다 버리고, 저 버드나무 홀뚜기 뽑아다 불고 바가지 장단 좀 쳐주오.
양반들: 야아. 이놈 뭐야.
말뚝이: 야. 이 양반들 어찌 듣소. 용두, 해금북, 장고, 피리, 깃대, 한가랑도 뽑지 말고 걸 건드러지게 치라고 그리 하였소.
양반들: (합창) 「걸 건드러지게 치라네」(굿거리 장단으로 춤을 춘다)
1) 말뚝이의 조롱 - 양반의 질책 - 말뚝이의 변명(심화된 조롱)  - 양반의 만족
2) 말뚝이의 조롱 - 양반의 질책 - 말뚝이의 굴복 - 양반의 승리
3) 말뚝이의 반항 - 양반의 질책 - 말뚝이의 굴복 - 양반의 만족
4) 말뚝이의 반항 - 양반의 질책 - 말뚝이의 변명(심화된 조롱)  - 양반의 승리


12. 다음 서술 내용을 볼 때 이 소설의 시점(視點)은?
등신불은 양자강 북쪽에 있는 정원사의 금불각 속에 안치되어 있는 불상의 이름이다. 등신 금불 또는 그냥 금불이라고 불렀다. 그러니까 다른 이 등신불, 등신 금불로 불리는 불상에 대해 보고 듣고 한 그대로를 여기다 찍으려 하거니와, 그보다 먼저, 내가 어떻게 해서 정원사라는 먼 이역의 고찰을 찾게 되었었는지 그것부터 이야기 해야겠다.
1) 1인칭 관찰자 시점
2) 1인칭 주인공 시점
3) 작가 관찰자 시점
4) 전지적 작가 시점


13. 밑줄친 구절의 함축적 의미로 알맞은 것은?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준 것처럼
나의 이 빛깔과 향기에 알맞은
누가 나의 이름을 불러 다오.
그에게로 가서 나도
그의 꽃이 되고 싶다.
 - 김춘수 「꽃」 중에서
1) 현상
2) 이상
3) 본질
4) 의지


14. 아래 글의 내용으로 유추하였을 때 (   )말에 알맞은 것은?

1) 새우
2) 가재
3) 소라
4) 게


15. 시의 이미지(image)특성과 가장 관계 깊은 것은?
1) 사실적
2) 추상적
3) 감각적
4) 지시적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문16-문18)
(가) 한 편의 글은 여러 단락으로 구성되므로, 글의 구조를 파악하려면 전 단락의 내용을 먼저 파악하여야 한다. 각 단락의 요점(要點)을 요약한 다음 그들을 다시 공통되는 내용끼리 묶으면 한 편의 글의 구성을 알 수 있게 되는데, 이에 의하여 전체의 내용 구조가 파악된다. 이 경우 "그러나, 그러면, 왜냐하면"등의 연결어(蓮結語)들에도 유의(留意)하며 읽는 것이 글의 구조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주어진 글에 이러한 연결어가 나타나 있지 않을 경우 ⓐ글을 읽는 사람이 이러한 연결어를 보충해가며 읽는 것이 그 글의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서 글의 구조를 이해해가며 읽어야 그 글을 바르게 이해할 수 있다.
앞에서도 말한 바와 같이, 글의 구조에서 상위 구조에 속한 요소들이 하위구조에 속한 요소들 보다 더 잘 기억되어 머릿속에 남는다. 그런데 글을 읽는 과정에서 상위구조의 내용을 임시적으로 상기시켰을 때, 그 글의 이해가 증진되기도 한다. 글을 읽기 전에 제목만을 보고 그 내용 체계를 스스로 구상해보고 읽으면 내용의 이해뿐아니라 내용의 기억에도 도움이된다.  (나)ⓑ거대한 기계의 일부분을 그부분만 분리되면 아주 쓸모 없는 고철이 될 수도 있다. 기계의 일부분은 전체의 체계 속에서만 진정한 기능(技能)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우리가 독서를 할 때에는 이와 같이 어느 한 부분의 내용도 한 편의 글이라는 전체의 구조속에서 파악하여야만 그 바른 의미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

16. 윗글의 내용으로 보아 타당적인 독서의 과정은?
1) 분석 - 종합 - 요약 - 이해
2) 분석 - 요약 - 종합 - 이해
3) 종합 - 분석 - 이해 - 요약
4) 이해 - 분석 - 요약 - 종합


17. ⓐ과 같은 사람의 성격을 가장 바르게 표현한 것은?
1) 주관적
2) 규범적
3) 능동적
4) 독창적


18. 글(나) 전체 내용에 대한 ⓑ의 기능은?
1) 예시
2) 비유
3) 연역
4) 인용


19. 다음 중 잘못 쓰인 한자가 있는 문장은?
1) 文章에 矛盾이 있으면 適當히 고쳐라.
2) 요즈음 市場景氣가 매우 寒散한 편이다.
3) 그들은 그 案件을 表決에 붙이기로 했다.
4) 그의 該博한 知識을 따를 사람은 아무도 없다.


20. 수필의 특성으로 적절한 것은?
1) 무형식의 형식
2) 개성의 문학
3) 제재의 다양성
4) 간접적 전달성

댓글 쓰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