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8년 6월 21일에 시행한 경찰직(순경:여경) 공무원 2차 시험 국어 기출문제입니다.
1 다음은 문학의 특성에 대한 설명이다. ( ) 안에 적당한 낱말은?
문학의 항구성(恒久性)이란 시간적 개념이고, ( )이란 공간적 개념에 해당되는데, 문학은 시간적으로 영속하고 생명력을 갖는 특성이 있으며, 국경을 초월해서 공간적으로 공통성 있는 생명을 갖는 점에 특성이 있다. |
을. 보편성
병. 지성
정. 감성
문학의 항구성(역사성) ⇨ 시간적 개념
문학의 보편성(일반성) ⇨ 공간적 개념
문학의 3대 특성:
항구성, 보편성, 개성
문학의 보편성(일반성) ⇨ 공간적 개념
문학의 3대 특성:
항구성, 보편성, 개성
2 문예 사조를 볼 때 헬레니즘(Hellenism)은 다음의 어떤 것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는가?
갑. 고전주의
을. 낭만주의
병. 사실주의
정. 실존주의
3 1930년대 ‘브나로드’ 운동과 거리가 먼 것은?
갑. 이광수-흙
을. 심훈-상록수
병. 이용구-흙의 노예
정. 김유정-동백꽃
정:농촌 계몽 소설과는 거리가 먼, 산골 청춘 남녀의 순수한 사랑을 다룬 해학적․향토적 농촌 소설이다.
브나로드(V narod) 운동과 농촌 소설
1. 브나로드 운동의 영향:1870년 러시아에서 청년 귀족과 학생들의 주동으로 농민이 주체가 되어 일어난 사회 개혁 운동. ‘V narod’는 ‘민중 속으로’의 뜻으로, 1930년대 초 우리 나라에 영향을 미쳐 동아 일보에서 농촌 계몽 운동을 벌이게 되었으며, 민족 각성 운동으로까지 확산되었다.
2. 농촌 소설:이광수가 ‘흙’을 발표하여 이 운동을 지원했고, 동아 일보의 현상 소설 모집에 심훈의 ‘상록수’가 당선된 이후 이무영의 ‘흙의 노예’, 박영준의 ‘모범 경작생’ 등 농촌 소설의 확산을 가져 왔다.
브나로드(V narod) 운동과 농촌 소설
1. 브나로드 운동의 영향:1870년 러시아에서 청년 귀족과 학생들의 주동으로 농민이 주체가 되어 일어난 사회 개혁 운동. ‘V narod’는 ‘민중 속으로’의 뜻으로, 1930년대 초 우리 나라에 영향을 미쳐 동아 일보에서 농촌 계몽 운동을 벌이게 되었으며, 민족 각성 운동으로까지 확산되었다.
2. 농촌 소설:이광수가 ‘흙’을 발표하여 이 운동을 지원했고, 동아 일보의 현상 소설 모집에 심훈의 ‘상록수’가 당선된 이후 이무영의 ‘흙의 노예’, 박영준의 ‘모범 경작생’ 등 농촌 소설의 확산을 가져 왔다.
4 풍자적 성격이 두드러진 작가의 작품은?
갑. 불꽃
을. 동백꽃
병. 등신불
정. 태평천하
정:채만식 ⇨ 풍자성갑:선우휘 ⇨ 휴머니즘, 행동주의
을:김유정 ⇨ 해학성병:김동리 ⇨ 토속적․신비적․사실적 경향
태평천하:1938년 ‘천하태평춘(天下泰平春)’이라는 제목으로 「조광」지에 연재된 채만식의 장편 풍자 소설로, 일제 강점하의 사회 실상을 심도 있게 고발했다. 풍자 문학의 대가인 작가 채만식은 이 소설에서 크게 행세하는 지주이고 고리 대금업자인 윤 직원 영감 집에서 하루 동안 일어난 일을 이것저것 다루면서 탁월한 수법으로 친일 부수 세력의 그릇된 의식을 치열하게 비판했다.
을:김유정 ⇨ 해학성병:김동리 ⇨ 토속적․신비적․사실적 경향
태평천하:1938년 ‘천하태평춘(天下泰平春)’이라는 제목으로 「조광」지에 연재된 채만식의 장편 풍자 소설로, 일제 강점하의 사회 실상을 심도 있게 고발했다. 풍자 문학의 대가인 작가 채만식은 이 소설에서 크게 행세하는 지주이고 고리 대금업자인 윤 직원 영감 집에서 하루 동안 일어난 일을 이것저것 다루면서 탁월한 수법으로 친일 부수 세력의 그릇된 의식을 치열하게 비판했다.
5 염상섭의 소설 ‘삼대’에 드러난 등장 인물의 사고 방식의 차이와 갈등은 어떠한 내용인가?
갑. 가족 제도상의 갈등
을. 신구(新舊)의 갈등
병. 계층 간의 갈등
정. 종교적 갈등
‘삼대’는 조의관․상훈․덕기 세 인물과 주변 상황 및 현실적 변모 과정을 통해 한 자산가 가문의 몰락을 그리면서, 조의관과 김병화로 대표되는 신구의 대립을 덕기를 매개로 하여 조화시키고자 하였다.
6 다음 글의 설명으로 맞지 않은 것은?
그립고 아쉬움에 가슴 조이던 / 머언 먼 젊음의 뒤안길에서 인제는 돌아와 거울 앞에 선 / 내 누님같이 생긴 꽃이여. |
을. 소외된 삶의 고뇌를 상징하는 시어가 있다.
병. ‘누님’의 연륜은 ‘知天命’으로 보는 것이 합당하다.
정. 작가는 「시인 부락」의 동인이었다.
병:‘누님’은 중년 여인의 원숙미를 지닌 존재로, ‘不惑(불혹, 40세)’의 연륜에 해당한다.
*知天命(지천명):50세
을:뒤안길
국화 옆에서:한 송이의 국화꽃을 피우기 위한 고뇌와 시련의 과정을 통해 삶의 깊이와 본질적 모습을 추구한 서정주의 대표작. 「시인 부락」의 동인으로서 생명파의 대표적 시인으로 불리는 서정주 초기 시의 생명 추구가 잘 드러나 있다.
*知天命(지천명):50세
을:뒤안길
국화 옆에서:한 송이의 국화꽃을 피우기 위한 고뇌와 시련의 과정을 통해 삶의 깊이와 본질적 모습을 추구한 서정주의 대표작. 「시인 부락」의 동인으로서 생명파의 대표적 시인으로 불리는 서정주 초기 시의 생명 추구가 잘 드러나 있다.
7 다음 예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담머리 넘어드는 달빛은
은은하고 한두 개 소리 없이 나려지는 오동꽃을 가랴다 발을 멈추고 다시 돌아보노라. |
을. 정중동(靜中動)을 느낄 수 있다.
병. 형식과 시상에서 고시조의 전통을 지켰다.
정. 시각적 이미지가 지배적이다.
병:형태와 운율에 있어서는 전통 시조의 전형적 형태와 운율을 이용하고 있으나, 시상의 전개에 있어서는 현실에서 느낄 수 있는 실정 실감을 상투적이 아닌 시어로써 격조 있게 표현하고 있다. -이병기의 ‘오동꽃’에서
설단음(舌端音):혀끝소리. ‘ㄷ, ㄴ, ㄹ’ 등
설단음(舌端音):혀끝소리. ‘ㄷ, ㄴ, ㄹ’ 등
8 다음 중 밑줄 친 낱말의 풀이로 가장 알맞은 것은?
그러기에 초록(草綠)에 한하여 나에게는 청탁(淸濁)이 없다. 가장 연한 것에서 가장 짙은 것에 이르기까지 나는 모든 초록을 사랑한다. |
을. 좋은 것과 나쁜 것
병. 부탁받은 것
정. 깨끗하고 맑은 것
청탁(淸濁):원뜻은 맑음과 흐림이나, 여기서는 사물의 ‘좋고 나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설문 풀이:초록을 사랑함에 있어서만은 내 마음에 그 짙고 옅은 것의 차별적 관념이 없다. -이양하의 ‘신록 예찬’에서
설문 풀이:초록을 사랑함에 있어서만은 내 마음에 그 짙고 옅은 것의 차별적 관념이 없다. -이양하의 ‘신록 예찬’에서
9 “내가 경찰관이 된다면, 맡은바 임무를 철저히 다하겠다.”에서 밑줄 친 부분의 성분은?
갑. 주어
을. 관형어
병. 보어
정. 서술어
‘되다(동사), 아니다(형용사)’ 앞에 오는 말은 보어(체언+보격 조사)이다.
10 다음 중 유포니(euphony) 현상이 일어난 단어는?
갑. 곤란
을. 고이
병. 약산
정. 영변
유포니(euphony, 활음조):발음하기 어렵고 듣기 거슬리는 소리에 어떤 소리를 더하거나 바꾸어, 발음하기가 쉽고 듣기 부드러운 소리로 되게 하는 음운 현상 예) 곤난 ⇨ 곤란, 허낙⇨ 허락, 희노 ⇨ 희로, 한 안음 ⇨ 한아름
11 다음의 연역적 추론 중 옳은 것은?
갑. 인간은 생물이다. / 개도 생물이다. / 그러므로 개는 인간이다.
을. 모든 사람은 대머리다. / 너의 아버지는 사람이다. / 그러므로 너의 아버지는 대머리다.
병. 선량한 사람은 자기 가족을 사랑한다. / 갑은 자기 가족을 사랑한다. / 고로 갑은 선량한 사람이다.
정. 모든 사람은 심장을 가지고 있다. / 너는 사람이다. / 고로 너는 심장을 가지고 있다.
연역적 추론:이미 알고 있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일반적인 명제(판단)를 기초로 하여 새로운 명제(판단)를 이끌어 내는 사고 과정으로, 전제들(대전제, 소전제)이 참이라고 가정할 때 결론도 반드시 참이 된다(필연성).
삼단 논법의 형식
A는 B이다:대전제 ⇨ 모든 사람은 심장을 가지고 있다(참).
C는 A이다:소전제 ⇨ 너는 사람이다(참).
∴ C는 B이다:결론 ⇨ 고로 너는 심장을 가지고 있다(참).
삼단 논법의 형식
A는 B이다:대전제 ⇨ 모든 사람은 심장을 가지고 있다(참).
C는 A이다:소전제 ⇨ 너는 사람이다(참).
∴ C는 B이다:결론 ⇨ 고로 너는 심장을 가지고 있다(참).
12 다음 글의 주제는?
봄, 여름, 가을, 겨울, 두루 사시(四時)를 두고 자연이 우리에게 내리는 혜택에는 제한이 없다. 그러나 그 중에도 그 혜택을 풍성히 아낌없이 내리는 시절은 봄과 여름이요, 그 중에도 그 혜택을 가장 아름답게 나타내는 것은 봄, 봄 가운데도 만산에 녹엽(綠葉)이 싹트는 이 때일 것이다. |
을. 봄의 계절감
병. 오월의 찬미
정. 오월의 신록
제시된 지문에서 필자는 신록의 계절인 오월이야말로 자연의 혜택이 가장 풍부한 계절이라고 찬미하고 있다.
신록 예찬:오월의 실록을 제재로 인간과 자연의 조화 속에서 얻는 기쁨을 예찬적․관조적․자연 친화적 태도로 적은 이양하(李敭河)의 수필
신록 예찬:오월의 실록을 제재로 인간과 자연의 조화 속에서 얻는 기쁨을 예찬적․관조적․자연 친화적 태도로 적은 이양하(李敭河)의 수필
13 편지나 물품을 받는 기관, 단체의 이름 아래 쓰는 말은 무엇인가?
갑. 座下
을. 貴中
병. 人秘
정. 惠存
갑. 좌하(座下):편지에서 상대편을 높이어 그의 이름 아래 쓰는 말
병. 인비(人秘):인적 사항에 관한 사항
정. 혜존(惠存):자기 저서나 작품 증정시 ‘받아 간직하여 주십시오’의 뜻으로 쓰는 말
병. 인비(人秘):인적 사항에 관한 사항
정. 혜존(惠存):자기 저서나 작품 증정시 ‘받아 간직하여 주십시오’의 뜻으로 쓰는 말
14 판소리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갑. 의식요
을. 아니리
병. 진양조
정. 발림
의식요:의식을 치르면서 부르는 노래로, 무가, 장례요, 지신밟기 노래, 액풀이, 동투잡이 등이 있다.
주요 판소리 용어
고수:북을 치는 사람
광대:노래를 부르는 사람
소리[唱]:노래를 부르는 것
발림:노래를 부르면서 하는 무용적 동작. 즉, 몸짓
너름새:‘발림’과 같으나 가사․소리․몸짓이 일체가 되었을 때 일컫는 말
추임새:고수가 발하는 탄성. 흥을 돋우는 소리
아니리:창이 아닌 말로, 창 도중에 이야기하는 것
진양조:소리가 가장 느림. 애연조(哀然調)
휘몰이:소리가 가장 빠름. 급박감을 줌.
중몰이:중간 빠르기의 소리. 안정감을 줌.
자진몰이:섬세․명랑․차분한 소리
엇몰이:평조음(平調音)으로 평화스럽고 경쾌함.
주요 판소리 용어
고수:북을 치는 사람
광대:노래를 부르는 사람
소리[唱]:노래를 부르는 것
발림:노래를 부르면서 하는 무용적 동작. 즉, 몸짓
너름새:‘발림’과 같으나 가사․소리․몸짓이 일체가 되었을 때 일컫는 말
추임새:고수가 발하는 탄성. 흥을 돋우는 소리
아니리:창이 아닌 말로, 창 도중에 이야기하는 것
진양조:소리가 가장 느림. 애연조(哀然調)
휘몰이:소리가 가장 빠름. 급박감을 줌.
중몰이:중간 빠르기의 소리. 안정감을 줌.
자진몰이:섬세․명랑․차분한 소리
엇몰이:평조음(平調音)으로 평화스럽고 경쾌함.
15 임진왜란 이후 나타난 조선 후기 국어의 특징이 아닌 것은?
갑. ‘ㅅ’ 불규칙 용언에 쓰이던 ‘ᅀ’과 초성, 종성에 다 쓰이던 ‘ᅌ’이 안 쓰이게 되었다.
을. 글자 왼편에 점을 찍어서 소리의 고저를 나타낸 방점이 사라지게 되었다.
병. 국어음에 활발히 쓰였던 순경음 ‘ᄫ’(28자에서 제외)과 후음 ‘ᅙ’이 소실되었다.
정. ‘ㅅ, ㅂ, ᄡ’ 계열로 나뉘어 있던 어두자음군이 ‘ㅅ’ 하나로 통일되었다.
16 고어와 현대어가 잘못 짝지어진 것은?
갑. 모딜이-모조리
을. 자로-자주
병. 바히-전혀
정. 마이-매우
모딜이:모질게, 사납게. 기본형: 모딜다
17 ‘三人成虎’의 뜻 풀이가 바르게 된 것은?
갑. 세 명의 장정이 힘을 합하면 호랑이를 잡는다.
을. 어려운 일도 힘을 합하면 능히 이룰 수 있다.
병. 어려운 일일수록 적은 수로는 이루기 힘들다.
정. 아무리 근거 없는 말이라도 여럿이 우기면 참말로 듣는다.
三人成虎(삼인성호):여러 사람이 거리에 범이 나왔다고 하면, 거짓말이라도 참말로 곧이듣게 된다는 뜻으로, 근거 없는 말도 여러 사람이 하면 이를 믿게 된다는 말
18 다음 중 밑줄 친 부분의 뜻으로 바른 것은?
弟子는 入則孝하고 出則弟하며 謹而信하고 汎愛衆하되 而親仁이니 行有餘力이면 則以學文이니라. |
을. 삼가다
병. 공손하다
정. 미덥게 하다
弟(=悌):공손할 제
子曰(자왈), 弟子(제자)는 入則孝(입즉효)하고 出則弟(출즉제)하며 謹而信(근이신)하고 汎愛衆(범애중)하되 而親仁(이친인)이니 行有餘力(행유여력)이어든 則以學文(즉이학문)이니라: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공부하는 사람은 (집 안에) 들어오면 효도하고, (집 밖에) 나가서는 공손하며 삼가고 미덥게 하고 사람들을 널리 사랑하되 어진 사람을 가까이할 것이니, (이러한 일들을) 행하고 남은 힘이 있거든 곧 (그 남은 힘으로) 글을 배울 것이니라.”
子曰(자왈), 弟子(제자)는 入則孝(입즉효)하고 出則弟(출즉제)하며 謹而信(근이신)하고 汎愛衆(범애중)하되 而親仁(이친인)이니 行有餘力(행유여력)이어든 則以學文(즉이학문)이니라: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공부하는 사람은 (집 안에) 들어오면 효도하고, (집 밖에) 나가서는 공손하며 삼가고 미덥게 하고 사람들을 널리 사랑하되 어진 사람을 가까이할 것이니, (이러한 일들을) 행하고 남은 힘이 있거든 곧 (그 남은 힘으로) 글을 배울 것이니라.”
19 다음은 논어 중에 나오는 문장이다. 밑줄 친 순으로 발음이 맞는 것은?
㉠ 興於詩, 立於禮, 成語樂. ㉡ 知者樂水, 仁者樂山. ㉢ 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 |
을. 요, 악, 락
병. 락, 요, 악
정. 락, 요, 요
樂: 즐길 락, 풍류 악, 좋아할 요
㉠ 興於詩, 立於禮, 成語樂(흥어시, 입어예, 성어악):시를 즐기고, 예를 세우면, 풍류를 말할 수 있다.
㉡ 知者樂水, 仁者樂山(지자요수, 인자요산):지혜로운 사람은 물을 좋아하고, 어진 사람은 산을 좋아한다.
㉢ 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유붕자원방래 불역락호):벗이 먼 곳으로부터 오면 또한 즐겁지 아니한가?
㉠ 興於詩, 立於禮, 成語樂(흥어시, 입어예, 성어악):시를 즐기고, 예를 세우면, 풍류를 말할 수 있다.
㉡ 知者樂水, 仁者樂山(지자요수, 인자요산):지혜로운 사람은 물을 좋아하고, 어진 사람은 산을 좋아한다.
㉢ 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유붕자원방래 불역락호):벗이 먼 곳으로부터 오면 또한 즐겁지 아니한가?
20 다음 중 ‘매우 위급한 상황’을 나타낸 말이 아닌 것은?
갑. 焦眉之急
을. 騎虎之勢
병. 百尺竿頭
정. 累卵之勢
을. 기호지세(騎虎之勢):범을 타고 달리는 사람이 도중에서 내릴 수 없는 것처럼 도중에서 그만두거나 물러나거나 할 수 없는 내친 형세를 이르는 말
매우 위급한 상황:焦眉之急(초미지급), 百尺竿頭(백척간두), 累卵之危(누란지위), 風前燈火(풍전등화), 危機一髮(위기일발), 命在頃刻(명재경각)
매우 위급한 상황:焦眉之急(초미지급), 百尺竿頭(백척간두), 累卵之危(누란지위), 風前燈火(풍전등화), 危機一髮(위기일발), 命在頃刻(명재경각)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