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8년 10월 18일에 시행한 경찰직(순경:일반) 공무원 4차 시험 국어 기출문제입니다.


 1  1920년대 우리 나라 낭만주의 시에 대한 설명 중 어긋나는 것은?
갑. 상징주의에 대한 반동이었다.
을. 3․1 운동의 실패에 의한 민족적 절망감의 표출이었다.
병. 러시아 우울 문학(Nihilism)의 영향을 받았다.
정. 프랑스의 세기말적 경향을 띠었다.

1920년대 우리 나라 낭만주의 시는 3․1 운동의 실패에 따른 좌절과 현실 도피 의식, 1910년대 말에 먼저 도입된 상징주의, 러시아의 ‘우울 문학’, 프랑스의‘ 세기말 풍조’ 등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퇴폐적․유미적․허무적․감상적 성격을 띠었다.

 2  공문서 작성시 알맞은 문체는?
갑. 화려체
을. 건조체
병. 강건체
정. 우유체

을:꾸밈이 전혀 없이 뜻만 전하는 전달 위주의 문체로, 법조문, 논설문, 공문, 기사문 등에 적합하다.

 3  다음과 같은 입장에서 쓰여진 시는?
낭만적 감정과 음악성을 배제하고, 이미지와 지성을 중시한다.
갑. 순수시
을. 낭만시
병. 주지시
정. 서정시

1930년대 모더니즘의 주지적 경향이 나타나면서, 1920년대의 민족주의․계급주의 경향의 시를 ‘자연 발생적․감상적’인 시들로 비판하면서 감정 아닌 지성에 입각한 시를 주장하게 되었고, 감성 위주의 ‘음악성’에서 지성 위주의 ‘회화성’으로의 변모를 보였다.

 4  신소설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갑. 주로 개화기의 민간 신문에 연재되었다.
을. 풍속 개량, 신교육, 자유 연애 등을 주제로 하였다.
병. 대체로 친일적 경향을 띠고 있다.
정. 개화 사상에 기초하여 민주 민족 정신을 고양하였다.

신소설은 고대 소설과 현대 소설의 과도기적 교량 역할을 한 개화기의 소설로, 근대 문명에의 동경과 신교육 사상의 고취, 미신 타파․자유 연애 등 기성 인습에 대한 비판, 민족의 자유와 독립에 대한 염원 등을 담고 있었다. 그런데 대표적인 신소설 작가들인 이인직, 이해조, 최찬식 등의 작품들은 신채호, 박은식 등의 역사 전기 문학에 비해 민족 주체성을 결여하여 낙관적인 문명 개화의 꿈에 그치는 한계를 보인다.

 5  다음 설명은 문학의 어떤 특성과 관계 있는가?
훌륭한 책이란 생명을 넘어 생명에 전하고자 대가의 생명 혈액을 향약(香藥)으로 처리하여 길이 보존한 것이다.
갑. 보편성
을. 항구성
병. 독창성
정. 예술성

문학의 특성 : 
1. 항구성(恒久性):위대한 문학 작품은 시대를 초월한 생명력을 지니고 있다. 다시 말해 문학은 시대를 초월한 인간의 정서를 다루어 감동을 준다. ⇨ 역사성
2. 보편성(普遍性):문학이 모든 인류의 공통적인 정서(情緖)를 다루기 때문에 위대한 문학 작품은 공간을 초월하여 모든 인류에게 감동을 준다. ⇨ 일반성
3. 개성(個性):문학은 주관적 체험이며 그 표현이기 때문에 개성적이며 독창적이다. 문학은 이러한 주관적이고 개성적이며 독창적인 삶의 표현을 통하여 항구성과 보편성을 추구하고 획득한다. ⇨ 독창성

 6  ‘지이산(智異山)’이 ‘지리산’으로 바뀌는 음운 변동을 무엇이라 하는가?
갑. 활음조
을. 자음 동화
병. 설측음화
정. 이화

‘지이산(智異山) ⇨ 지리산’은 발음하기 어려운 소리를 발음하기 쉽고 듣기 좋게 바꾸는 활음조 현상에 해당한다.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문 7~8)
‘청노루’가 ㉠ 한 폭의 그림과 같은 느낌을 주는 것은, 주로 묘사(描寫)를 통해서이지 본격적인 시의 ㉡ 이미지에 의해서가 아니다. 본격적인 시의 이미지란, 주로 비유(譬喩)를 통해서 느껴질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이다.

 7  다음 중 ㉠과 가장 가까운 것은?
갑. 이것은 소리 없는 아우성
을.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오리다.
병. 입술을 다문 하늘아 들아
정. 뜰에는 반짝이는 금모래 빛

㉠:묘사(사물을 감각적 표현으로 구체화하는 방식)를 통한 회화적인 표현을 말한다. -김종길의 ‘시와 언어’에서

정:묘사
갑:은유, 역설
을:반어․도치
병:의인

 8  ㉡의 역할로 보기 어려운 것은?
갑. 심상의 형성
을. 개념의 전달
병. 형상의 창조
정. 감각의 환기

이미지의 기능
1. 구체성:추상적 대상을 생생하고 구체적으로 표현한다.
2. 함축성:미묘한 느낌이나 생각을 효과적․함축적으로 표현한다. 즉, 이미지를 사용하면 보통의 언어로써는 완전히 풀이하기 어려운 마음의 상태를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3. 감각의 직접성:사물에 대한 뚜렷하고도 직접적인 인상을 표현한다. 즉, 이미지는 보통의 언어로는 나타내기 힘든 사물의 성질의 차이를 나타냄으로써 시의 언어를 정확한 것으로 만들기도 한다.

 9  “대한 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존하세.”에 대한 문법적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갑. ‘대한으로’의 ‘으로’는 조사이다.
을. ‘대한 사람’은 주어이다.
병. ‘길이’는 부사이다.
정. 절(節)이 없다.

을:‘대한 사람’은 목적어이다.

10  다음 각 문장의 밑줄 친 부분이 정서법에 맞는 것은?
갑. 거칠은 솜씨와 서툰 재주로 엉성하게 만들었다.
을. 총력을 기울여 수출을 늘려야 한다.
병. 일일히 악수를 나누며 반가히 맞았다.
정. 오랫만에 교외에 나가 바람을 쏘였다.

갑:거칠은 ⇨ 거친, 서툰 ⇨ 서투른
병:일일히 ⇨ 일일이, 반가히 ⇨ 반가이
정:오랫만에 ⇨ 오랜만에, 쏘였다 ⇨ 쐬었다 (기본형 : 쐬다)

11  “학문에 관심을 (  ), 더욱 문화가 발전한다.”의 문장에서 ( ) 안에 들어갈 올바른 말은?
갑. 기울임으로써
을. 기울임으로서
병. 기울이므로써
정. 기우리므로써

기울임으로써:기울이(어간)+ㅁ(명사형 어미)+으로써(조사)
­(으)므로:어미
­(으)로서:자격
(­ㅁ, ­음)으로(써):조사
­(으)로써:수단

12  다음 고시가에서 밑줄 친 부분은 결국 무엇을 나타낸 말인가?
갑. 자연 속에서의 은거 생활
을. 이웃 간에 내왕이 없음.
병. 분수대로 사는 사람의 낭만
정. 견디기 어려운 밤의 고독 엄습

㉠:올 사람도 갈 사람도 없는 밤은 또 어찌할 것인가.

설문 요지:고려 속요 청산별곡 중에서 삶의 고독을 노래한 제4연 정상적 생활을 누릴 수 없게 된 자의 뼈저린 고독이 나타난 부분으로, 앞날에 대한 희망도, 함께할 그 누구도 없는 고독과 절망의 상태가 밤으로 표출되고 있다. -‘청산별곡’에서

13  고려 시대의 작품으로 비둘기와 뻐꾸기를 통해 잘못된 정치를 풍자한 작품은?
갑. 만전춘
을. 상저가
병. 정석가
정. 유구곡

유구곡(維鳩曲):고려 시대 작자․연대 미상의 가사. 비둘기를 노래한 5구의 단순하고 짧은 가요로서, 어린이들이 불렀을 것으로 추측되며, ‘시용향악보’에 내용이 전한다.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문 14~16)

14  윗글의 문체와 거리가 먼 것은?
갑. 번역체
을. 가사체
병. 산문체
정. 문어체

 ‘소학 언해’는 중국 남송 때 유자징이 편찬한 원전 ‘소학’을 선조 19년(1586) 정구․최영경 등이 원문에 맞추어 번역한 것으로, 번역체․산문체․문어체의 문체적 특성을 갖는다.
을. 가사체:4․4조를 기본으로 한 가사의 문체

설문 요지:솔직하고 신실하며 견문이 넓은 유익한 벗을 가려 사귀어야 한다는 ‘벗의 선택’을 주제로 한 글로, 원전은 「논어」이다. -‘소학 언해’ 명륜(明倫) 2에서

15  밑줄 친 ㉠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한자 숙어는?
갑. 허장성세(虛張聲勢)
을. 구상유취(口尙乳臭)
병. 교언영색(巧言令色)
정. 괄목상대(刮目相對)

㉠:아첨을 잘하는 사람. 알랑거려 남의 환심 사는 데 능숙하고 신실하지 못한 이

병. 교언영색(巧言令色):(남의 환심을 사려고) 번지르르하게 발라 맞추는 말과 알랑거리는 낯빛
갑. 허장성세(虛張聲勢):실력이 없으면서 허세로 떠벌림.
을. 구상유취(口尙乳臭):말이나 하는 짓이 유치함.
정. 괄목상대(刮目相對):학식이나 재주 따위가 놀랍도록 향상되어 눈을 비비고 다시 봄.

16  밑줄 친 ㉡과 같은 사람에게 적당한 교훈은?
갑. 말 많은 집 장맛도 쓰다.
을.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
병.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
정. 남아일언중천금

㉡:말만 앞세우는 사람. 말만 익숙하고 견문의 실속이 없는 자

정:남아의 말은 천금보다 무겁다(男兒一言重千金). ⇨ 말의 책임 강조
갑:말이 많은 집은 살림도 안 된다.
을:주관하거나 참견하는 사람이 많으면 일을 이루기 어렵다.
병:말을 조심하여야 한다.

17.


18  오늘날에 쓰이지 않는 성문법은?
갑. 종성법
을. 부서법
병. 병서법
정. 연서법

정. 연서법(밑으로 이어서 쓰기):순음 아래 ‘ㅇ’을 써서 순경음(ᄫ, ᄬ, ᅗ, ᄝ)을 만드는 규정으로, 순수 국어에는 ‘ᄫ’만 사용되고 나머지는 동국정운식 한자음에 사용되었는데, 세종․세조 초에만 잠시 적용되고 폐지되었다.

갑. 종성법:훈민정음 당시에는 종성부용초성(원칙)과 8종성가족용(실제로 통용, ㄱ, ㄴ, ㄷ, ㄹ, ㅁ, ㅂ, ㅅ, ᅌ)이 적용되다가 17세기 이후 7종성(ㄱ, ㄴ, ㄹ, ㅁ, ㅂ, ㅅ, ㅇ)으로 바뀌었다가 ‘한글 맞춤법 통일안(1933)’ 공포 이후 ‘종성부용초성’에 의거하여 모든 자음을 받침으로 표기하게 되었다.

을. 부서법(붙여쓰기):자음에 모음을 붙이는 것으로, 하서와 우서(예: ㅂ+ㅏ ⇨ 바)가 있다.

병. 병서법(나란히쓰기):같은 자음을 두 번 반복해서 쓰는 각자 병서(예: ㄲ, ㄸ, ㅃ)와 서로 다른 자음을 나란히 쓰는 합용 병서(ᄭ, ᄠ,  / ᄢ, ᄣ)가 있다.

19  다음 글에서 밑줄 친 ㉠을 한자로 쓸 때 옳은 것은?
“명작(名作)하나가 대학(大學)에 ㉠ 필적한다.”는 말은 이를 두고 한 말이 아닌가 한다.
갑. 筆蹟
을. 必的
병. 匹敵
정. 畢適

필적(匹敵):재주나 힘 따위가 엇비슷하여 서로 견줄 만함. *匹:짝․상대 필

20  “도주하는 범인추적하여 사투 끝에 체포했다.”에서 밑줄 친 부분의 한자가 순서대로 모두 맞게 연결된 것은?
갑. 逃走-犯人-追跡-死鬪-逮捕
을. 逃走-凡人-推跡-死投-體捕
병. 途走-梵人-秋跡-死透-逮包
정. 道走-汎人-醜跡-四透-體包

도주(逃走)   *逃:달아날 도
범인(犯人)   *犯:범인 범
추적(追跡)   *追:따를 추
사투(死鬪)   *鬪:싸움 투
체포(逮捕)   *逮:쫓을․잡을 체

댓글 쓰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