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 2월 20일에 시행한 경찰직 (여경) 공무원 시험 국어 기출문제입니다.
1. 희곡을 이원적(二元的) 예술이라 한다. 해당되는 특성이 올바로 묶인 것은?
갑. 시간성, 공간성
을. 현실성, 창조성
병. 문학성, 연극성
정. 연극성, 미술성
희곡은 무대 상연을 전제로 한 연극의 대본이자 대사와 행동으로 대립과 갈등을 표출하는 문학으로, 연극성과 문학성을 공유한다.
2. 시의 언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갑. 운율적 언어
을. 사전적 언어
병. 내포적 언어
정. 함축적 언어
시의 언어는 지시적(사전적) 의미보다 함축적 의미를 중시하는 내포적 언어이며, 운율로 음악적 효과를 나타낸다.
3. 소설의 구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갑. 독창성을 띠며, 갈등․분규가 나타나고 소설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부분은 전개이다.
을. 주인공의 운명이 분명해지는 부분은 절정이다.
병. 위기는 다른 사건에 비해서 색다른 새로운 사건이 일어난다.
정. 발단은 사건 암시, 등장 인물 소개, 배경 등이 주류를 이룬다.
을:갈등과 위기가 해소되고 주인공의 운명이 결정되는 소설의 구성 단계는 결말이다.
4. 다음 중 형태상 가장 이질적인 작품은?
갑. 김동환의 ‘국경의 밤’
을. 이육사의 ‘광야’
병. 김용호의 ‘남해찬가’
정. 신동엽의 ‘금강’
갑․병․정은 대표적인 우리 나라의 서사시들이고, 을은 자유시․서정시이다.
5. 보고문의 특징으로 두드러진 것은?
갑. 독자에게 흥미 있는 부분만을 소개
을. 3단 논법에 의한 서술
병. 내용의 정확성
정. 창조성의 내재
보고문은 연구․조사한 내용을 남에게 보고하기 위하여 기록하는 글로, 객관성과 정확성을 기본 요건으로 한다.
6. 다음 ㉠~㉣에 알맞은 말들을 순서에 맞게 배열한 것은?
교도소를 ‘큰집’, 돈을 ‘동그라미’라 하는 것은 ( ㉠ )이고, 입을 ‘주둥아리’, 시골 사람을 ‘촌놈’이라 하는 등 점잖지 못하고 천한 말이 ( ㉡ )이며, 두목을 ‘왕초’, 산삼 캐는 사람을 ‘심마니’라 하듯이 특수 계층의 사람들끼리 쓰는 말이 ( ㉢ )이며, 일시적으로 나타나 많은 사람이 썼으나 사라진 언어는 ( ㉣ )이다. |
을. 은어-비어-속어-유행어
병. 속어-비어-은어-유행어
정. 비어-속어-은어-유행어
속어:통속적인 저속한 말
비어:하위 계급적인 천한 말
은어:특수 집단의 비밀스런 말
유행어:어느 한 시기에 많은 사람 사이에 쓰이는 말. 시쳇말
비어:하위 계급적인 천한 말
은어:특수 집단의 비밀스런 말
유행어:어느 한 시기에 많은 사람 사이에 쓰이는 말. 시쳇말
7. 다음 중 글쓰기 과정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갑. 주제-소재-구성-집필-퇴고
을. 주제-구성-소재-집필-퇴고
병. 구성-주제-소재-집필-퇴고
정. 구성-소재-주제-집필-퇴고
글쓰기의 절차:주제 설정 ⇨ 재료 수집과 선택 ⇨ 구성 및 개요 작성 ⇨ 집필 ⇨ 퇴고
8. 추론의 형태로서 서로 모순되는 두 개를 통합하는 구성 방식은?
갑. 연역법
을. 귀납법
병. 변증법
정. 비유법
병. 변증법:현실을 동적으로 파악하여 서로 모순․대립되는 둘 이상의 논점을 지양(止揚)․통합함으로써 좀더 높은 차원의 결론을 유도하는 방법을 말한다.
9. 다음 중 품사가 다른 것은?
갑. 겸손한 사람은 미움받지 않는다.
을. 내용이 다른 책에 비하여 어렵다.
병. 곡은 같으나, 가사만 다른 노래가 많이 있다.
정. 높은 산은 높고, 낮은 산은 낮다.
을:관형사
갑․병․정:형용사
‘다른’의 품사
형용사:모양이 다른 물건[異]
관형사:다른 사람[他]
갑․병․정:형용사
‘다른’의 품사
형용사:모양이 다른 물건[異]
관형사:다른 사람[他]
10. 다음 중 띄어쓰기가 바른 것은?
갑. 먹을만큼 먹어라
을. 원하는대로 하여라.
병. 떠난 지가 오래다.
정. 흙 조차 오염되었다.
갑:먹을 만큼
을:원하는 대로
정:흙조차
을:원하는 대로
정:흙조차
11. 다음 중 교정 부호가 잘못 설명된 것은?
갑. 민과 도자-바로 세움표
을. 잘 뚜렷이 보임-자리 바꿈표
병. 줄이 고 게-줄 고름표
정. 가면서, 이보게 -줄 바꿈표
12. 다음 중 ‘(으)로서’가 잘못 쓰여진 것은?
갑. 그는 피해자로서 결여하였다.
을. 나는 정치인으로서 책임을 다하겠다.
병. 그들은 동지애로서 결속하였다.
정. 나는 주민 대표자로서 참여하였다.
병:동지애로서 ⇨ 동지애로써(‘수단’의 의미)
- (으)로서(자격):사람으로서 그럴 수는 없다.
- (으)로써(수단):닭으로써 꿩을 대신했다.
- (으)로서(자격):사람으로서 그럴 수는 없다.
- (으)로써(수단):닭으로써 꿩을 대신했다.
13. 다음 중 맞춤법이 옳은 것만으로 짝지어진 것은?
갑. 있사오니-하고자-수평아리-며칠
을. 있아오니-하고저-수병아리-몇일
병. 있아오니-하고저-수평아리-몇일
정. 있사오니-하고자-수평아리-몇일
1. 있사오니:‘-사오-’는 공손의 선어말 어미 ‘-사옵-’의 ‘ㅂ’이 ‘-면, -니, -아도, -ㄹ지’ 등 앞에서 줄어든 것이다.
2. 하고자:‘-고자’는 동사 어간 밑에 쓰이어 소망의 뜻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이다.
3. 수평아리:수컷을 이르는 접두사는 ‘수-’로 통일(예외-숫양, 숫염소, 숫쥐)하며, 다음의 경우 뒤에 오는 거센소리를 인정한다. [표준어 규정 제7항]
예) 수캉아지, 수캐, 수키와, 수탉, 수탕나귀, 수퇘지, 수평아리 등
4. 며칠:어원이 분명하지 아니한 것은 원형을 밝히어 적지 않는다. [한글 맞춤법 제27항]
예) 골병, 골탕, 끌탕, 며칠, 아재비, 오라비, 부리나케 등
2. 하고자:‘-고자’는 동사 어간 밑에 쓰이어 소망의 뜻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이다.
3. 수평아리:수컷을 이르는 접두사는 ‘수-’로 통일(예외-숫양, 숫염소, 숫쥐)하며, 다음의 경우 뒤에 오는 거센소리를 인정한다. [표준어 규정 제7항]
예) 수캉아지, 수캐, 수키와, 수탉, 수탕나귀, 수퇘지, 수평아리 등
4. 며칠:어원이 분명하지 아니한 것은 원형을 밝히어 적지 않는다. [한글 맞춤법 제27항]
예) 골병, 골탕, 끌탕, 며칠, 아재비, 오라비, 부리나케 등
14. 다음 중 국문학 장르가 시대순으로 맞게 배열된 것은?
갑. 향가-고려 가요-시조-악장-가사
을. 향가-경기체가-시조-고려 가요-악장
병. 경기체가-고려 가요-시조-악장-가사
정. 고려가요-경기체가-시조-가사-악장
향가(신라) ⇨ 고려 가요(고려) ⇨ 경기체가(고려) ⇨ 시조(고려 말) ⇨ 악장(조선) ⇨ 가사(조선)
15. “人不知而不慍이면 不亦君子乎아”의 해석이 옳은 것은?
갑. 남들이 모르는 것도 많이 아는 것이 군자 아닌가?
을. 남을 이해하지 못하고 화를 내니, 군자라 할 수 있는가?
병. 사람을 몰라주고 옛것도 익히지 못하니 군자라 할 수 있는가?
정. 남들이 알아주지 않아도 노여워하지 않으니 군자가 아닌가?
人不知而不慍(인부지이불온)이면 不亦君子乎(불역군자호)아:나를 알아주지 않더라도 성내지 아니하면 또한 군자가 아닌가?
16. 다음 중 한자의 독음이 틀린 것은?
갑. 斡旋-알선
을. 標識-표식
병. 誘說-유세
정. 看做-간주
을. 標識(표지):다른 것과 구별하여 알게 하는 데 필요한 표시나 특징
*識:알 식, 기록할 지
*識:알 식, 기록할 지
17. ‘有備無患’과 같은 뜻을 가진 것은?
갑. 深思熟考
을. 如履薄氷
병. 轉禍爲福
정. 居安思危
有備無患(유비무환):미리 대비함이 있어야 근심이 없음.
居安思危(거안사위):편안한 때에 앞으로 닥칠 위태로움을 생각함.
갑. 深思熟考(심사숙고):깊이 생각함.
을. 如履薄氷(여리박빙):살얼음을 밟는 것과 같이 아슬아슬하고 불안한 지경
병. 轉禍爲福(전화위복):화가 바뀌어 오히려 복이 됨.
居安思危(거안사위):편안한 때에 앞으로 닥칠 위태로움을 생각함.
갑. 深思熟考(심사숙고):깊이 생각함.
을. 如履薄氷(여리박빙):살얼음을 밟는 것과 같이 아슬아슬하고 불안한 지경
병. 轉禍爲福(전화위복):화가 바뀌어 오히려 복이 됨.
18.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 문학상의 장르는?
∙소설식으로 길어졌다. ∙구어체, 형이하학적 성질의 이야기의 비유가 도입되었다. ∙강렬한 개성을 표출하였다. ∙거리낌 없는 자기폭로, 사회의 비판과 풍자 등이 이루어졌다. |
을. 가사
병. 창가
정. 사설시조
판소리의 특징
1. 서민의식을 반영하는 해학적이고 풍자적인 민중 예술이다.
2. 음악과 문학이 결합된 극적 형태의 공동작이다.
3. 구성은 장면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앞뒤가 맞지 않는 모순도 보인다.
4. 한시나 고사의 인용이 많으며, 일상적인 구어체로 반복․과장․욕설 등이 많이 쓰였다.
5. 음절 수의 변화가 심하지만 대체로 4음보격의 운문이다.
1. 서민의식을 반영하는 해학적이고 풍자적인 민중 예술이다.
2. 음악과 문학이 결합된 극적 형태의 공동작이다.
3. 구성은 장면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앞뒤가 맞지 않는 모순도 보인다.
4. 한시나 고사의 인용이 많으며, 일상적인 구어체로 반복․과장․욕설 등이 많이 쓰였다.
5. 음절 수의 변화가 심하지만 대체로 4음보격의 운문이다.
19. 다음 예문에 나타난 수사법이 옳게 묶인 것은?
고목이 된 뽕나무 가지에 닥지닥지 열린 것은 틀림없이 사람의 열매다. |
을. 과정법, 직유법
병. 의인법, 의태법
정. 활유법, 대유법
의태법:닥지닥지(열매가 열린 상태를 나타냄.)
은유법:사람의 열매(원관념은 뽕나무 열매임.)
은유법:사람의 열매(원관념은 뽕나무 열매임.)
20. 다음 시조의 주제는?
갑. 선의
을. 호기
병. 연군
정. 풍류
이 시조는 귀향하여 자연에 묻혀 사는 선비의 풍류를 잘 드러낸 작품으로, 자연스러운 시상의 전개가 돋보이며 서경(초․중장)과 서정(종장)의 조화를 이루고 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