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 9월 3일에 시행한 국가직 7급 공무원 시험 국어 기출문제입니다.


【문 1】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작품은?
 현전하는 상고(上古) 가요의 대표로서, 이 작품의 제작 연대는 자세히 알 수 없으나 「古今注」에 수록된 것만으로도 3세기 이전일 것이다. 남편이 물에 빠져 죽은 것을 애통해 하며 자신도 물에 몸을 던져 죽은 아내의 지극한 애정을 읊은 이 작품은 우리 시가 문학사상 그 내용을 짐작할 수 있는 가장 오래된 것으로서, 원시적인 서사 문학이 서정 문학으로 옮아 간 작품이라 할 수 있다.
① 箜篌引
② 賞春曲
③ 黃鳥歌
④ 鄭石歌


【문 2】 다음 중 환유법이 쓰인 것은?
① 力拔山氣蓋世
② 문학 작품의 체험은 목적 없는 여행
③ 달빛을 타고 아련히 파고드는 브람스
④ 깃발은 소리 없는 아우성. 노스탤지어의 손수건


【문 3】 다음 소설의 한 대목에서 특히 두드러진 문학 기법은?
어사또 분부하되,
 “너만 년이 수절한다고 관정 포악하였으니 살기를 바랄쏘냐. 죽어 마땅하되 내 수청도 거역할까?.”
춘향이 기가 막혀
 “내려오는 관장(官長)마다 개개이 명관이로구나. 수의(繡衣) 사또 듣조시오. 층암 절벽(層巖絶壁) 높은 바위 바람 분들무너지며, 청송녹죽(靑松綠竹) 푸른 남기 눈이 온들 변하리까. 그런 분부 마옵시고 어서 바삐 죽여 주오.”
① 반어(反語)
② 해학(諧謔)
③ 풍자(諷刺)
④ 우의(寓意)


【문 4】 친족 지칭어와 그 대상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시아주버니 - 남편의 형
② 진외종삼촌 - 어머니의 외삼촌
③ 생질부 - 누이의 며느리
④ 대고모 - 아버지의 고모


【문 5】 다음 군담 소설 중에서 병자호란을 배경으로 한 것은?
① 박씨전
② 곽재우전
③ 유충렬전
④ 조웅전


【문 6】 다음의 내용으로 한 편의 글을 쓰려고 할 때, 그 순서가 가장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나열한 것은?
㉠ 꿀벌은 자기가 벌집 앞에서 날개를 파닥거리며 맴을 돎으로써 다른 벌한테 먹이가 있는 방향과 거리를 알려 준다고 한다.
㉡ 언어는 사람만이 가지고 있다. 이는 사람됨의 기본 조건의 하나가 언어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 사람 이외의 다른 동물들이 언어를 가졌다는 증거는 아직 나타나지 않는다.
㉣ 의사 전달에 사용되는 수단이 극히 제한되어 있고, 그것이 표현하는 의미도 매우 단순하다.
㉤ 그러나 동물의 이러한 의사 교환의 방법은 사람의 말에 비교한다면 불완전하기 짝이 없다.
① ㉢-㉠-㉤-㉣-㉡
② ㉤-㉢-㉡-㉠-㉣
③ ㉣-㉢-㉤-㉡-㉠
④ ㉠-㉣-㉤-㉡-㉢


【문 7】 "오지랖이 넓다"라는 말을 가장 잘 풀이한 것은?
① 세력이 강하다.
② 참견을 잘한다.
③ 옷이 몸에 맞지 않는다.
④ 더럽혀진 정도가 심하다.


【문 8】 다음 시 중에서 시적 자아와 대상 사이의 심리적 거리가 가장 먼 것은?
① 그립고 아쉬움에 가슴 조이던 머언 먼 젊음의 뒤안길에서
 이제는 돌아와 거울 앞에 선 내 누님같이 생긴 꽃이여
② 산은 구강산(九江山) / 보랏빛 석산(石山) 산도화 두어 송이 / 송이 버는데
 봄눈 녹아 흐르는 / 옥 같은 / 물에 사슴은 / 암사슴 / 발을 씻는다.
③ 돌이어라. 나는 여기 절정 바다가 바라뵈는 꼭대기에 앉아 종일을 잠잠하는 돌이어아
④ 모란이 피기까지는 나는 아직 나의 봄을 기다리고 있을테요
 모란이 뚝뚝 떨어져 버린 날 나는 비로소 봄을 여읜 슬픔에 잠길테요.


【문 9】 공무원이 갖추어야 할 덕망과 거리가 먼 것은?
① 見利思義
② 先公後私
③ 姑息之計
④ 見危致命


【문 10】 다음은 무엇을 의인화한 작품인가?
국순(麴醇)의 자는 자후이니, 그 조상은 농서 출신으로 구십 대 선조 모(牟)는 후직(后稷)을 도와 뭇 백성들을 먹여 공이 있었으니 「시경」에 이른바 “내게 밀보리를 주다.” 한 것이 그것이다. 모가 처음 숨어 살며 벼슬하지 않고 말하기를, “나는 반드시 밭을 갈아야 먹으리라.” 하며 전묘에서 살았다.
① 돈
② 술
③ 대나무
④ 소나무


【문 11】 다음 중 한글 자모(字母)의 순서와 자음의 명칭이 정해지는 데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문헌은?
① 언문지
② 훈민정음 언해본(訓民正音諺解본)
③ 계림유사(鷄林類事)
④ 훈몽자회(訓蒙字會)


【문 12】 다음 글에서 ‘사투리의 여운’과 ‘육자배기 가락’의 원관념은?
나주 평야의 넓은 들 저편으로 뻗은 산등성이의 완만한 곡선이 시야로 다가온다. 평평한 들판은 그지 없이 넓은데도 산은 가깝게만 느껴지니 참으로 이상스럽다. 나는 이곳을 지난 때마다 마치 길게 누운 여인의 등허리 곡선미(曲線美)처럼 느슨하면서도 변화가 있는 조화로운 리듬감을 느낀다. 남도 사투리에서 말끝을 당기며 잉 소리를 내는 여운(餘韻)과도 같고, 구성진 육자배기의 끊길 듯 이어지는 가락과도 흡사한 묘미(妙味)라고나 할까!
① 나주 평야의 넓은 들
② 산등성이의 완만한 곡선
③ 여인의 등허리 곡선미
④ 변화 있는 조화로운 리듬감


【문 13】 다음 시조에서 서정적 자아의 정서는?
① 흥취(興趣)
② 회의(懷疑)
③ 비관(悲觀)
④ 은둔(隱遁)


【문 14】 밑줄 친 구문에 나타나 있는 문법 범주는?
① 강조법
② 피동법
③ 사동법
④ 의문법


【문 15】 고려 속요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남녀의 애정을 소재로 한 ‘남녀상열지사(男女相悅之詞)’가 있다.
② ‘사리부재(詞俚不載)’의 정신에 의해 많이 삭제되었다.
③ 민요적 성격의 노래가 궁중악으로 편입되면서 이루어졌다.
④ 악학궤범 등에 이두(吏讀)로 표기되어 전해지고 있다.


【문 16】 다음 글의 ㉠~㉣에 대한 예로 적당한 것은?
글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단어의 선택뿐 아니라, 적절한 문장 구조의 선택도 필요하다. 문장은 구조에 따라 크게 ㉠홑문장과 겹문장으로 나눌 수 있는데, 겹문장은 다시 ㉡이어진 문장과 ㉢안은 문장으로 나눌 수 있다. 하나의 문장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확장될 수 있다.
홑문장에 꾸미는 말을 덧붙이거나, 하나의 문장에 다른 문장을 이어 주거나, 다른 문장을 하나의 문장 속에 안기게 함으로써 문장은 확장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문장 구조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여러 가지 문장 구조들 가운데에서 어떠한 구조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표현의 효과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적절한 문장 구조의 선택은 효과적인 문체를 결정짓는 데 기여하게 된다. 표현의 과정에서, ㉣기본 문형으로 된 단순 문장 구조를 사용하면, 비교적 강렬한 인상을 주며, 글의 내용에 간결성과 명료성을 부여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문장 구조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때로는 필자의 미숙성에 기인하기도 한다.
① ㉠-철수는 아파서 결석했다.
② ㉡-나는 우리편이 이기기를 바랐다.
③ ㉢-철수가 돈이 많다.
④ ㉣-철수가 좋은 책을 많이 샀다.


【문 17】 ‘인물이나 사물의 우열을 가리기 힘든 것’을 나타내는 말이 아닌 것은?
① 難兄難弟
② 龍虎相搏
③ 伯仲之勢
④ 累卵之勢


【문 18】 다음 중 밑줄 친 부분의 용법이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
① 吾矛之利 於物 無不陷也
② 數人飮之不足 一人飮之有餘
③ 天下之難事 必作於易
④ 不復言人之長短


【문 19】 다음 (  )안에 공통적으로 들어갈 한자는?
非禮( )視非禮( )聽非禮( )言 非禮()動
① 可
② 末 
③ 能
④ 勿


【문 20】 다음 시에 나타난 시적 화자의 태도와 가장 관련이 깊은 것은?
 고향에 돌아온 날 밤에
 내 백골(白骨)이 따라와 한 방에 누웠다.

 어둔 방은 우주로 통하고
 하는에선가 소리처럼 바람이 불어온다.

 어둠 속에 곱게 풍화 작용하는
 백골을 들여다보며
 눈문 짓는 것이 내가 우는 것이냐?
 백골이 우는 것이냐?
 아름다운 혼이 우는 것이냐?

지조 높은 개는
 밤을 새워 어둠을 짖는다. 

 어둠을 짖는 개는
 나는 쫓는 것일 게다.

 가자 가자
 쫓기우는 사람처럼 가자.
 백골몰래
 아름다운 또 다른 고향에 가자.
① 참된 자아의 성찰과 지향
② 전통 도덕률과 초극의 의지
③ 민족적 염원의 육화와 실천
④ 원초적 존재와 생명의 회복

댓글 쓰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