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 7월 23일에 시행한 서울시 9급 공무원 시험 국어 기출문제입니다.

※11개 문제만 복원되어 있습니다. 죄송합니다.

1. 문학에 대한 정의로 틀린 것은?
① 문학은 사상의 등가성이다.
② 문학은 가치 있는 체험의 반영이다.
③ 문학은 현실의 창조적인 반영이다.
④ 문학은 언어의 예술이다.
⑤ 문학은 정서와 사상의 결합이다.


문학은 미적(美的)으로 정화되고 정서화된 사상을 담아내는 그릇일 뿐, 사상과 등가성(等價性)이 성립되지는 않는다.

2. 다음 시의 작가의 시 경향은?
거울속에는소리가없소
저렇게까지조용한세상은참없을것이오
거울속에도내게귀가있소
내말을못알아듣는딱한귀가두개나있소
거울속의나는왼손잡이오
내악수를받을줄모르는 ―― 악수를모르는왼손잡이오
① 사실주의
② 초현실주의
③ 낭만주의
④ 상징주의
⑤ 실존주의


이상은 초현실주의의 대표적인 작가로, 초현실주의적 언어 실험을 통해 난해시를 썼으며, 의식의 흐름 수법을 사용하여 불안과 공포의 내면 세계를 읊었다.

 이상의 ‘거울’
이 시는 이상이 즐겨 사용한 거울 모티프가 그 중심 구조를 이루고 있는 가운데, 일상적 자아[현상적 자아]와 이상적 자아[본질적 자아] 사이의 갈등, 즉 자의식(自意識)을 드러낸 대표적 작품이다. 이 시에서는 자의식의 세계를 표상하는 거울을 매개로 하여 두 개의 ‘나’가 설정되었는데, 이에 따라 전체는 3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첫째 단락은 1~3행으로 거울 속의 자아를, 둘째 단락은 4~5행으로 거울 밖의 자아를 보여 주며, 셋째 단락은 마지막 6행으로 거울 밖의 자아와 거울 안의 자아의 관계를 드러내 준다. 작가는 두 자아 사이의 단절과 분열, 갈등의 형상화를 통해 현대인의 자아 분열(自我分裂)의 모습을 보여 주고 있는 것이다.

3. 다음 중 유치환의 시 경향은?
① 관념적 세계를 남성적인 웅혼한 기상으로 노래했다.
② 자기 반성을 통해 양심적인 삶과 순교자적 정신을 노래했다.
③ 남성적 어조로 불굴의 지사적 기개와 강인한 광복에의 의지를 노래했다.
④ 농촌 귀의의 태도를 보이며 동양적인 관조의 세계를 노래했다.
⑤ 회화적 이미지로, 도시적 서정과 소시민 의식을 표현했다.


②는 윤동주, ③은 이육사, ④는 김상용, ⑤는 김광균에 대한 설명이다.

4. 훈민정음 28자에 속하지 않으면서도 순수 국어의 음운을 표기하는 데 사용된 글자는?



③은 훈민정음의 이어쓰기 규정에 의한 글자로서 28자에는 들지 않지만 언중이 실제 사용한 음운이다.

5. 다음 중 문법에 맞는 것은?
① 엄청 비싸다.
② 그는 아이스럽다.
③ 화를 돋운다.
④ 친구를 소개시켰다.
⑤ 면회는 일체 금한다.


① 엄청(양이나 크기가 생각보다 훨씬 대단할 때 쓰는 부사) ⇨ 매우
② 아이스럽다. ⇨ 아이 같다.
④ 소개시켰다. ⇨ 소개시켜 주었다.
⑤ 일체(一切;모든 것을 다) ⇨ 일절(一切;사물을 부인하거나 금하는 말과 어울려서 ‘아주, 도무지, 결코, 전혀’의 의미로 사용됨.)

6. ‘以心傳心(이심전심)’과 같은 한자 성어는?
① 指呼之間
② 盡善盡美
③ 拈華示衆
④ 穿鑿之學
⑤ 氷炭之間


以心傳心(이심전심):마음과 마음이 서로 말없이 통함. ⇨ 拈華示衆(염화시중), 拈華微笑(염화미소), 心心相印(심심상인), 不立文字(불립문자), 敎外別傳(교외별전)
① 지호지간:매우 가까운 거리
② 진선진미:더할 수 없이 착하고 아름다움.
④ 천착지학:말을 멋대로 끌어다가 억지로 이치에 맞도록 함.
⑤ 빙탄지간:얼음과 숯불처럼 서로 화합될 수 없는 것

7. 다음은 ‘감자’의 결말 부분이다. 여기에 나타난 작가의 태도는?
복녀의 송장은 사흘이 지나도록 무덤으로 못 갔다. 왕 서방은 몇 번을 복녀의 남편을 찾아갔다. 복녀의 남편도 때때로 왕 서방을 찾아갔다. 둘의 사이에는 무슨 교섭하는 일이 있었다.
사흘이 지났다. / 밤중에 복녀의 시체는 왕 서방의 집에서 남편의 집으로 옮겼다. 그리고 시체에는 세 사람이 둘러앉았다. 한 사람은 복녀의 남편, 한 사람은 왕 서방, 또 한 사람은 어떤 한방 의사 ―― 왕 서방은 말없이 돈주머니를 꺼내어 십 원짜리 지폐 석 장을 복녀의 남편에게 주었다. 한방 의사의 손에도 십 원짜리 두 장이 갔다.
이튿날, 복녀는 뇌일혈로 죽었다는 한방의의 진단으로 공동 묘지로 가져갔다.
① 체념
② 각성
③ 고발
④ 연민
⑤ 안도


복녀의 죽음을 놓고 왕 서방과 한의사, 그녀의 남편이 돈을 주고받는 장면의 간결한 묘사에서는 현실의 비참하고 추악한 단면을 냉정하고 객관적으로 그려 내려는 작가의 고발적 태도가 엿보인다.

 김동인의 ‘감자’
‘복녀’라는 가난하지만 정직한 농가에서 자란 여인이 환경의 영향을 받아 타락해 가는 과정을 그린 자연주의 소설로, ‘환경 결정론’에 입각한 작품이다. ‘환경 결정론’이란 주인공의 운명은 환경에 의해 이미 결정되어 있다는 이론이다. 복녀의 죽음도 따지고 보면 불우한 환경이 빚어낸 일종의 숙명으로, 그 운명은 환경에 의해 이미 결정된 것이다. 그녀의 최초의 부정은 타율적인 것이었지만 나중에는 자율적인 것으로 변화된다.

8. 다음 중 표준어 규정에 맞는 것끼리 묶인 것은?
① 위층, 회수(回數), 바래다
② 아지랭이, 설거지, 개구장이
③ 윗층, 생각컨대, 빛깔
④ 지게꾼, 아지랑이, 횟수(回數)
⑤ 멋장이, 숫양, 돐


① 횟수, 바라다
② 아지랑이, 개구쟁이
③ 위층, 생각건대
⑤ 멋쟁이, 돌

9. ‘비 오는 날’, ‘잉여 인간’의 작가는?
① 오영수
② 손창섭
③ 이범선
④ 장용학
⑤ 김성한 


손창섭은 전후의 음울한 분위기와 소외된 불구적 인간형을 냉소적이고 사실적인 필치로 그려 낸 작가로, 대표작으로 ‘미해결의 장’, ‘혈서’, ‘비 오는 날’, ‘잉여 인간’, ‘낙서족’ 등이 있다.

10. 다음 중 한자가 옳은 것끼리 짝지어진 것은?
① 因襲(인습)-墨守(묵수)
② 索莫(색막)-遊說(유세)
③ 省略(생략)-誤謬(오진)
④ 歪曲(왜곡)-洞察(동찰)
⑤ 管轄(관할)-辛辣(신속)


② 索莫(삭막)  ③ 誤謬(오류)  ④ 洞察(통찰)  ⑤ 辛辣(신랄)

11. 다음 중 군더더기 표현이 아닌 것은?
① 농구공
② 매 순간마다
③ 떨어지는 낙엽
④ 근거 없는 낭설
⑤ 역전 앞


② 매(每)=마다  ③ 떨어지는=낙(落)  ④ 근거 없는=낭(浪)  ⑤ 전(前)=앞


댓글 쓰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