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2월 경찰직 공무원 (해경) 시험 한국사 기출문제입니다.
1. 다음 신석기시대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알맞은 것은?
① 주로 어로생활을 하였다.
② 막집에 주로 살았다.
③ 사적소유로 인한 빈부의 차이가 생겼다.
④ 농업을 시작하고 저장을 하였다.
신석기시대에 농업이 시작되었고 음식을 저장하기 시작하였다.
①신석기시대에도 주로 어로생활을 하였지만 구석기 시대도 해당되므로 신석기만 해당되는 것을 정답으로 해야 한다.
①신석기시대에도 주로 어로생활을 하였지만 구석기 시대도 해당되므로 신석기만 해당되는 것을 정답으로 해야 한다.
2. 다음 지문과 가장 관련이 깊은 인물을 고르면?
이제 농사를 짓는 사람에게는 토지를 갖게 하고 농사짓지 않는 사람에게는 토지를 갖지 못하게 하려면 여전제를 실시해야 한다. … 산곡과 하천을 기준으로 구역을 획정하여 경계를 삼고, 그 경계선 안에 포괄되어 있는 지역을 1여로 한다. … 이 때 국가에 바치는 세를 먼저 제하고, 다음에는 여장의 봉급을 제하며, 그 나머지를 가지고 장부에 의거하여 노동량에 따라 여민에게 분배한다. |
② 박제가
③ 이익
④ 유수원
경자유전의 원칙에 따른 공동농장제도인 여전제를 주장한 사람은 정약용이다.
3. 다음 지문과 가장 관련이 깊은 실학자를 고르면?
생산할 줄 모르고 소비할 줄 모르니 백성은 날로 궁핍해진다. 무릇 재물은 샘에 비유된다. 사용하면 가득하고 폐하면 고갈된다. 그러므로 비단옷을 입지 않으면 비단짜는 사람은 없어지고 따라서 女工이 쇠할 것이다. |
② 유수원
③ 홍대용
④ 박제가
박제가의 「북학의」이다. 박제가는 소비촉진을 통한 생산성 향상을 주장하였다.
4. 다음 중 성격이 다른 하나는?
① 진흥왕 순수비
② 임신서기석
③ 광개토대왕비
④ 중원고구려비
①③④는 영토확장에 관한 내용이지만 임신서기석은 두 화랑도의 의리와 유교경전 학습의욕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5. 다음 예문을 읽고 당시 사회를 유추한 것 중에서 잘못된 것은?
㉠ 사람을 죽인 자는 즉시 사형에 처한다(相殺以當時償殺). ㉡ 사람을 상해한 자는 곡물로써 배상한다(相傷以穀償). ㉢ 남의 물건을 훔친 자는 노비로 삼되, 자속(自贖)하려는 자는 돈 50만을 내야 한다(相盜者男沒入爲其家奴 女子爲婢 欲子贖子人五十萬). ㉣ 부인들이 정신(貞信)하여 음란하지 않았다. |
② 인간생명존중을 엿볼 수 있다.
③ 형벌제도가 존재하였다.
④ 화폐가 널리 유통되었다.
화폐의 존재는 알 수 있지만 화폐가 널리 유통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우리나라에서 화폐는 조선 후기에 널리 유통되었다.
6. 다음과 공통적으로 관련된 것을 고르면?
∙팔관회 ∙세속오계 ∙황룡사9층탑 |
② 정토신앙
③ 왕권강화
④ 숭불정책
팔관회를 승려가 주관하게 함으로서 호국사상을 나타내게 되었으며 세속오계는 국가를 충으로써 지켰던 화랑도의 계율이었고 황룡사 9층탑은 아홉 나라를 굴복시켜 조공을 받겠다는 믿음에서 건립한 것이었다.
7. 다음 조선시대 수취제도 중 잘못된 것은?
① 영정법의 시행으로 1결당 4두로 전세가 고정되었다.
② 대동법의 시행으로 공인이 등장하고 민영수공업이 발달하였다.
③ 훈련도감의 삼수미세는 전국 지주에게 1결당 2.2두를 부과하였다.
④ 균역법의 시행으로 1년에 군포 1필에서 2필로 부담이 증가하였다.
균역법의 시행으로 군포 2필에서 1년에 1필로 부담이 감소하였다. 군포를 반감시킴으로써 농민들의 역부담을 일단 덜어주었다.
8. 다음 중 고려시대 조세제도와 관련이 없는 것은?
① 어민과 상민은 면세되었다.
② 지방에서 거둔 곡식은 조운을 이용해 개경으로 운송하였다.
③ 일반 농민은 조용조의 부담을 져야했다.
④ 국유지의 경우 처음 1/10에서 1/4로 전호의 세금부담이 늘어났다.
어민은 어세를 상민은 상세를 내야했다.
9. 한강을 근거지로 다음과 같은 운송업과 판매업에 종사한 상인은?
∙소금 ∙어물 ∙미곡 |
② 경강상인
③ 객주
④ 만상
경강상인은 조선 후기 한강을 중심으로 하는 선운(船運)의 요지를 장악하여 쌀․소금․어물 등의 판매에 종사하던 상인이다. 강상(江商)․경강상(京江商)․경강부민(京江富民) 등의 이름이 있으며, 경기․충청도 연안일대의 상권을 장악하였다.
10. 다음 <보기> 중 이황에 관한 설명이 몇 개 있는가?
∙일본성리학에 영향 ∙기술학 중시 ∙이론적 원리 중시 ∙위정척사사상에 영향 ∙사회 경장론 ∙경험적 현실세계 |
② 2개
③ 3개
④ 4개
일본성리학에 영향, 이론적 원리 중시, 위정척사사상에 영향 등 3개이다.
11. 독립협회가 근대식 의회로 개편하여 민중참여의 정치를 하려했던 기구를 고르면?
① 군국기무처
② 의정부
③ 중추원
④ 비변사
독립협회가 중추원을 통해 이루려고 했던 것은 황제와 일부 독점권력의 남용의 견제와 제어였다. 더불어 민의를 이곳에 반영하여 일종의 민주정치를 꾀하고자 했다. 또한 독립협회 역시 중추원을 자신들의 역량을 발휘할 기반으로도 생각했을 것이다. 독립협회는 조선후기와 말기에 이르러 집권자들의 부정부패나 기강해이 등으로 이들에게 지금과 같이 모든 권한을 맡길 경우 국가장래가 어렵다고 판단했다. 그래서 기존의 중추원을 개편하여 그들의 권력을 제어할 방법을 찾았던 것 같다.
12. 다음 중 흥선대원군의 개혁내용이 아닌 것은?
① 왕의 권위를 회복하기 위하여 경복궁을 중건하였다.
② 국가 재정수입 확대와 민심안정을 위해 사창제를 실시하였다.
③ 평민에게만 받던 군포를 양반에게도 징수하는 호포법을 실시하였다.
④ 의정부를 폐지하고 비변사를 부활하였다.
반대로 서술하였다. 세도정치가의 아지트였던 비변사를 폐지하고 의정부와 삼군부를 분리하여 정치와 군사권을 나누었다.
13. 다음 <보기>의 원인이 된 것은?
동학운동에 의해 청일 군대가 주둔하고 청일전쟁의 원인이 되었다. 즉, 양국 중 어느 한 나라가 조선에 군대파견의 필요가 있을 때는 사전에 통고한다는 조항이 규정되었다. |
② 포츠머드 조약
③ 텐진조약
④ 한성조약
1885년(고종 22). 갑신정변 후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와 이홍장(李鴻章)이 조인했으며 주요 내용으로는, 청ㆍ일 두 나라 군대가 조선에서 철수하고, 장래 출병할 때는 서로 통고한다는 협정이다. 이 조약의 체결로 일본은 조선에 대한 영향력을 계속 확보해 나갈 수 있었다. 1885년 갑신정변 때문에 맺어졌다.
14. 다음 근현대사의 중요 사건의 순서로 옳은 것은?
① 임오군란 → 갑신정변 → 갑오개혁 → 아관파천
② 강화도조약 → 갑신정변 → 임오군란 → 아관파천
③ 갑신정변 → 임오군란 → 갑오개혁 → 아관파천
④ 아관파천 → 갑오개혁 → 갑신정변 → 임오군란
강화도조약(1876)→임오군란(1882)→갑신정변(1884)→갑오개혁(1894)→아관파천(1896)
15. 다음 중 일제하 종교단체의 활동으로 맞는 것은?
① 천주교의 중광단
② 천도교의 경향신문
③ 대종교의 의민단
④ 원불교 저축운동 및 개간운동
①대종교의 중광단 ②천주교의 경향신문 ③천주교의 의민단
16. 다음 현대사의 중요사건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① 카이로회담에서 최초 독립선언
② 포츠담선언에서 독립 재확인
③ 모스크바삼상회의에서 신탁통치 실시 결정
④ 얄타회담에서 미소공동위원회 설치
얄타회담에서는 38도선을 중심으로 신탁통치에 대한 것이 밀약되었으며 모스크바삼상회의에서 신탁통치 실시가 결정되면서 그 일환으로 미소공동위원회의 설치가 합의되었다.
17. 다음 중 작품과 의인화 대상이 잘못 연결된 것은?
① 공방전-엽전
② 국선생전-술
③ 죽부인전-대나무
④ 정시자전-거북이
정시자전은 지팡이를 의인화하여 인세의 덕에 관하여 논하였다. 거북이를 의인화한 것은 청강사자현부전이다.
18. 조선시대 수령 7사와 관련해서 수령의 임무와 거리가 먼 것은?
① 부역을 균등히 한다.
② 향리의 부정을 방지한다.
③ 소송을 간결히 한다.
④ 유향소를 관리한다.
수령 7사로는 농업 진흥, 인구 증식, 교육 진흥, 군대 정비, 부세 수취, 재판의 공정, 치안 확보가 있다.
19. 고려시대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① 향촌의 실질적 지배자인 향리의 세력이 약하였다.
② 행정과 군사적 지역이 일원화되어 있었다.
③ 5도에는 관찰사가 상주로 파견되었다.
④ 지방관이 파견된 주현보다 그렇지 않은 속현이 훨씬 더 많았다.
①향촌의 실질적 지배자인 향리의 세력이 강하였다. ②고려의 지방행정은 5도 양계로서 행정과 군사적 지역이 이원화되어 있었다. ③5도에는 안찰사가 임시로 파견되었다.
20. 다음 말은 누가 무엇을 할 때 한 말인가?
백성을 해치는 자는 공자가 다시 살아난다 하여도 용서하지 않는다. 하물며 서원은 우리나라 선현에게 제사 지내는 곳인데 어찌 이런 곳이 도적이 숨는 곳이 되겠느냐? |
② 홍대용의 의산문답에서의 주장이다.
③ 주세붕이 백운동 서원을 건립할 당시 한 말이다.
④ 흥선대원군이 서원을 철폐할 때 한 말이다.
당쟁의 온상이며, 국가재정을 좀먹어 가장 폐가 많던 화양동 서원을 비롯하여 전국의 600여 개소의 서원을 정리하고 도학과 정의에 뛰어난 인물을 봉사하는 47개소만 남겼다. 지방유생들의 완강한 저항을 받기도 하였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