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7월 22일에 시행한 서울시 7급 공무원 시험 한국사 기출문제 (B책형)입니다.


1. 다음 중 5세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① 법흥왕은 병부를 설치하여 병권을 장악하고 상대등을 두었다.
② 영양왕은 온달 장군을 보내 한강 유역을 공격하였다.
③ 성왕은 사비로 천도하고 국호를 남부여로 바꾸었다.
④ 개로왕은 중국 북조의 위(魏)에 사신을 보내 군사 원조를 청하였다.


1. 정답 ④

★ 해설
개로왕은 5세기 472년에 고구려 장수왕의 남하 정책에 대항하기 위해 중국 북위에 국서를 보내기도 하였으나, 결국 장수왕의 공격으로 한성이 함락되고 한강 유역을 상실하였으며, 개로왕도 전사하고 말았다.

★ 바로알기
① 법흥왕은 6세기의 왕이다. 법흥왕 때에는 상대등과 병부의 설치・율령 반포・17관등제 완비・공복의 제정 등을 통하여 통치 질서를 확립하였다.

② 영양왕은 5세기 말에 즉위하여 7세기 초까지 재위한 왕이다. 온달은 590년 영양왕이 즉위하자, 신라에게 빼앗긴 한강유역 탈환을 위한 군사의 출정에 자원해서 참전했으나 아단성 전투에서 화살에 맞아 전사하였다.

③ 성왕은 6세기의 왕이다. 성왕은 538년 대외 진출이 쉬운 사비(부여)로 천도하고, 국호를 남부여로 고치면서 중흥을 꾀하였다.



정답 : ④

④ 개로왕(455~475)은 472년 고구려 장수왕의 침입에 대항하여 중국 북조의 북위(北魏)에 군사적 지원을 요청하는 국서(걸사표)를 보냈으며, 위례성이 장수왕에게 함락되면서 전사하였다.

① 법흥왕(514~540)은 6세기에 해당한다. 517년에는 병부를 설치하여 병권의 일원화를 도모했으며, 520년에는 율령을 반포하고 처음으로 백관의 공복을 제정하여 귀족을 관료로 등급화하여 17관등제를 마련하였다.

② 고구려 온달 장군의 한강 유역 공격은 6세기 후반인 590년의 사실이다.

③ 백제 성왕은 538년 사비로 천도하고 국호를 남부여로 바꾸었다.



2. 다음은 고려 시대의 어떤 기구에 대한 기록이다. 밑줄 친 시기에 이 기구의 명칭으로 옳은 것은?
왕명을 받아 글을 짓는 기관이다. 태조 때 태봉의 제도에 따라 원봉성을 두었고, 뒤에 학사원으로 고쳤다. 문종 때 학사 승지 1인을 두고 정3품으로 삼았고, 학사는 2인을 두고 정4품으로 삼았다. 충렬왕 원년에 다시 문한서로 고쳤다.
- '고려사' 76, 백관지 1, 예문관 -
① 한림원
② 홍문관
③ 전중성
④ 비서성


2. 정답 ①

★ 해설
고려시대의 한림원은 왕명을 받아 글을 짓는 일을 관장하던 관청이다.

★ 바로알기
② 홍문관은 조선시대에 궁중의 경서 ·사적의 관리, 문한의 처리 및 왕의 자문에 응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청이다.

③ 전중성은 고려 전기 때 왕의 공상(供上) 및 친족의 보첩(譜牒)에 관한 일을 관장하던 관청이다.

④ 비서성은 고려시대 경적(經籍)과 축문(祝文)작성 등에 관한 일을 관장하던 관청이자 도서관이다.



정답 : ①

제시된 자료의 밑줄 친 기구는 ‘한림원’이다.

① 한림원에는 문장에 능하고 뛰어난 학식을 갖춘 과거 급제자만을 선발하였으므로, 여기에 속한 판한림원사(재신과 겸직)와 겸직관인 정3품 한림학사승지 및 정4품 한림학사 등은 대개 과거의 고시관이나 경연관을 겸직하기도 하였다. 이 관청은 원래 태봉의 원봉성(元鳳省)을 기원으로 하며, 학사원(學士院)을 거쳐 현종 조 한림원으로 개칭되었다.

② 홍문관은 세조 대 폐지된 집현전을 계승하여 설치된 기구로 경연과 서연을 담당하였는데, 경연은 왕과 묻고 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유학 문제뿐만 아니라 시무나 정책에 대한 논의도 개진되었기 때문에 항상 국왕의 자문에 대비해야 했다. 홍문관은 이외에도 경적(經籍)과 문한(文翰) 관리 및 학술과 문필 업무를 담당하여 옥당(玉堂)이라고도 불렸다.

③ 전중성은 고려 전기 때 왕의 공상(供上) 및 친족의 보첩(譜牒)에 관한 일을 관장하던 관청을 말한다. 전중성의 명칭은 그 뒤 전중시로 바뀌기도 했고, 1298년(충렬왕 24)에는 다시 종정시(宗正寺)로 개칭되었다. 이는 고려 후기 원나라의 내정간섭으로 실시된 관제개혁에 의해 고려의 전통적인 관부 명칭이 소멸되고 격하된 것이다.

④ 비서성은 개경에 설치된 일종의 도서관으로, 경적(經籍)과 축문(祝文)작성 등에 관한 일을 관장하던 관청을 말한다.



3. 다음의 발기문이 발표된 시기와 가장 가까운 시기에 전개된 독립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입어라, 조선 사람이 짠 것을
먹어라, 조선 사람이 만든 것을
써라, 조선 사람이 지은 것을
조선 사람, 조선 것.
① 안중근이 하얼빈 역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하였다.
② 기회주의를 배격하고 민족단일당을 지향한 신간회가 결성되었다.
③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충칭에서 한국 광복군을 창설하였다.
④ 윤봉길이 훙커우 공원에서 폭탄을 투척하였다.


3. 정답 ②

★ 해설
제시된 자료는 1920년대에 전개된 물산장려운동 발기문이다. 따라서 1927년에 결성된 신간회가 가장 가까운 시기에 해당한다.

★ 바로알기
① 연해주에서 의병 활동을 하던 안중근은 1909년 10월 만주 하얼빈 역에서 한국 침략의 원흉인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하였다.

③ 1940년 9월에 중국 충칭에서 한국 광복군이 창설되어 총사령관에 지청천, 참모장에 이범석이 취임하였다.

④ 윤봉길의 상하이 훙커우 공원 투탄 의거는 1932년 4월의 일이다.



정답 : ②

제시된 자료는 1923년 전개된 물산 장려회의 발기문 내용 중 일부이다.

② 신간회의 결성은 1927년의 사실이다.
① 안중근의 이토 히로부미 사살은 1909년의 사실이다.
③ 충칭의 한국 광복군 결성은 1940년의 사실이다.
④ 윤봉길의 훙커우 공원 폭탄 투척은 1932년 4월의 사실이다.




4. 발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ㄱ. 발해의 영광탑은 고구려의 영향을 받은 석탑이다.
ㄴ. 교역을 목적으로 하는 대규모 사절단을 일본에 파견하였다.
ㄷ. 유학 교육을 목적으로 주자감을 설치하고 귀족 자제들에게 유학을 가르쳤다.
ㄹ. 전체 인구 구성 가운데 옛 고구려 계통 사람들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ㄷ, ㄹ


4. 정답 ③

★ 해설
ㄴ. 발해는 일본에 교역을 목적으로 하는 대규모 사절단을 파견하기도 하였다.
ㄷ. 발해에서는 유학 교육을 목적으로 주자감을 설립하여 귀족 자제에게 유교 경전을 가르쳤다.

★ 바로알기
ㄱ. 발해의 영광탑은 8세기에서 10세기 사이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전탑(벽돌탑, 당의 영향)이나, 무덤 위에 벽돌로 탑을 쌓는 것은 발해의 독특한 양식이다.
ㄹ. 발해의 주민 중 다수는 말갈인이었다. 이들은 고구려 전성기때부터 고구려에 편입된 종족이었다. 발해 건국 후에 이들 중 일부는 지배층이 되거나 자신이 거주하는 촌락의 우두머리가 되어 국가 행정을 보조하였다.



정답 : ③

ㄴ. 발해는 신라를 견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일본과의 외교 관계를 중요하게 여겼다. 일본과의 무역은 비교적 큰 규모로 이루어졌는데 한 번에 수백 명이 왕래하기도 하였다.

ㄷ. 발해는 유학 교육을 목적으로 주자감을 설립하여 귀족 자제에게 유교 경전을 가르쳤다.

ㄱ. 영광탑은 13미터 높이의 5층 벽돌 탑으로 당나라 형식을 띠고 있다.

ㄹ. 발해의 인구 구성에서 소수 지배층은 대개 고구려인이었고, 다수의 피지배층은 말갈족이었다.




5. 다음의 시와 관련된 역사적 사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새 짐승도 슬피 울고 산악 해수 다 찡기는 듯
무궁화 삼천리가 이미 영락되다니
가을 밤 등불 아래 책을 덮고서 옛일 곰곰이 생각해 보니
이승에서 지식인 노릇하기 정히 어렵구나.
① 일본은 영일동맹, 태프트-가쓰라 각서와 포츠머스 조약을 통하여 각각 영국, 미국, 러시아로부터 대한제국에 대한 지배를 인정받았다.

② 일본은 군대를 거느리고 들어가 고종 황제와 대신들을 협박하면서 조약에 서명할 것을 강요하였으나, 황제는 끝까지 서명을 거부하였다.

③ 일본은 국가의 법령 제정, 중요 행정처분, 고등 관리의 임명에 대해 통감의 사전 승인을 받도록 하였고 통감이 추천한 일본인을 관리로 임명하도록 하였다.

④ 육군 대신 데라우치는 2천여 명의 헌병을 데리고 들어와 경찰 업무를 담당하게 하였고, 순종에게 양위의 조서를 내리도록 강요하였다.


5. 정답 ④

★ 해설
제시된 자료는 황현의 절명시이다. 황현은 역사서인 <매천야록>을 저술한 인물로 1910년 병합(국권피탈) 소식을 듣고 원통해 하며 절명시를 남기고 자결하였다. 따라서 국권피탈(한일병합조약)과 관련된 ④번이 정답이다.

★ 바로알기
① 가쓰라·태프트 밀약은 1905년 7월, 러·일 포츠머스 조약은 1905년 9월의 일이다.

② 을사늑약(1905. 11)에 대한 설명이다.

③ 한·일 신협약(1907. 7, 정미 7조약)에 대한 내용이다.



정답 : ④

제시된 자료는 황현의 절명시의 내용 중 일부이다. 황현은 1910년 8월 29일 한국이 일본에 강제병탄되자 이에 통분하며 자결하였다. 따라서 한일병합과 관련된 내용을 찾는 문제이다.

④ 1910년 5월 30일 일제는 병합을 단행할 인물로 육군대신 테라우치를 한국 통감에 겸임 발령하고, 헌병경찰을 동원하여 일체의 정치적 집회나 연설회를 금하고 이를 어기는 경우 가차없이 검속·투옥하는 등 숨도 함부로 쉬지 못할 만큼 공포분위기를 조성하였다. 이후 병합조약안은 별다른 수정없이 8월 18일자로 한국정부의 내각회의를 통과하였고, 8월 22일에는 형식적인 어전회의를 거쳐 순종황제가 이완용을 전권위원으로 임명함으로써 같은 날 이완용과 테라우치통감 사이에 병합조약이 조인되었다.

①, ② 을사조약 체결 직전 상황 및 체결 과정에 대한 내용이다.

③ 1907년 정미 7조약에 대한 내용이다.



6. 조선 후기 중인층과 서얼은 자신들의 기록물을 남겼다. 이에 해당하는 저술만을 가장 바르게 나열한 것은?
① 연조귀감(掾曹龜鑑) - 방경각외전(放璚閣外傳)
② 지봉유설(芝峯類設) - 호산외기(壺山外記)
③ 풍요삼선(風謠三選) - 의산문답(醫山問答)
④ 규사(葵史) - 이향견문록(里鄕見聞錄)


6. 정답 ④

★ 해설
<규사>는 1858년 유림 단체인 달서정사에서 펴낸 것으로 책 이름의 ‘규’자는 해바라기를 뜻한다. 해바라기가 해를 향하는 데는 본가지나 곁가지가 다름이 없듯이 서얼의 충성심도 적자와 다를 바 없다는 선조(宣祖)의 말에서 따온 것이라 한다.

<이향견문록>은 조선 말기 유재건이 지은  중인층 이하 출신의 인물들에 대한 행적기이다. 향리에 묻혀 있는 인물로서 학문이나 서화, 예능 및 어떤 한 분야에 뛰어난 재주를 지녔던 혹은 충효와 절개 같은 유교적 덕목에 있어 사람들에게 널리 알릴 만한 행적을 남긴 인물 308명의 행적을 52종의 책에서 뽑아 수록하였다.



정답 : ④

④ 『규사』는 이진택 등이 철종 9년(1858)에 간행한 역사서로 서얼에 대한 차별 내용을 수록하였다. 권말에는 「규사현인록(葵史賢人錄)」이라 하여 고려 말 정문배로부터 조선의 이덕무까지 60여 명의 서얼의 전기를 수록하였다. 한편 『이향견문록』은 중인 유재건이 철종 13년(1862)에 중인층 이하 인물들의 행적을 수록하여 19세기 이후 자신들의 사회적 신분을 상승시켜 가던 중인의 입장을 표현하였다. 이 책은 사대부가 아니면서 향리에 묻혀 있는 유능한 인재들을 발굴하려는 취지에서 간행되었다.

① 『연조귀감』은 이진흥이 정조 때 간행한 역사서로서 그의 손자 이명구에 의해 헌종 14년(1848)에 간행되었다. 1권에서는 향리와 관련된 용어에 대한 설명과 함께 향리로 낮아진 사람들의 예를 수록하였으며, 이후 향리에 대한 처우 개선을 요구한 상소를 덧붙였다. 2권과 3권에서는 「관감록」이라는 표제 아래 고려에서 조선에 걸쳐 실존하였던 향리들의 행적을 수록하였다. 한편 『방경각외전』은 조선 후기 대표적 실학자인 연암 박지원의 아홉 작품의 전이 실려있는 작품집으로 『연암집』 별집에 수록되어 있다. 지배층의 허례허식을 비판하는 한편 하층민의 진솔한 삶과 세태를 잘 표현한 작품들을 수록하였다.

② 최초의 백과사전인 이수광의 『지봉유설』은 천문 ․ 지리 ․ 군사 ․ 관제 등 문화의 각 영역을 25개 부문으로 나누어 기술함으로써 문화 인식의 폭을 확대하였다. 『호산외기』는 조선 후기 철종 대 조희룡이 불우한 위항인(몰락양반, 중인)의 행정을 기록한 것이다.

③ 『풍요삼선』은 조선 후기 직하시사(稷下詩社)의 시동우(詩同友)인 유재건(劉在建)·최경흠(崔景欽) 등이 펴낸 위항시집(委巷詩集)을 말한다. 『의산문답』은 조선 후기 북학파 실학자인 홍대용이 청에 왕래하면서 얻은 경험을 토대로 저술한 것으로 서양의 과학사상을 소개하고, 지전설을 주장하였다.



7. 통일신라의 통치 체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13개의 관부가 병렬적으로 독립되어 있었으며 각 부의 장관은 여러 명인 경우가 많았다.
② 중앙과 지방에 각각 9서당과 10정을 두었으며 10정에 편제된 보병이 군사력의 핵심을 이루었다.
③ 지방 세력을 제도적으로 통제 ․ 감시할 목적으로 일정 기간 경주에 머물게 하는 사심관제를 실시하였다.
④ 진골만을 위한 관리 등용 제도로 '춘추좌전', '논어', '효경' 등 유학적 견식을 파악하는 독서삼품과를 실시하였다.


7. 정답 ①

★ 해설
① 통일신라는 6전 조직을 중심으로 그 아래에 속사(하급 관청)를 포괄하는 형식을 취하지 않고, 13개의 관부가 병렬적으로 나열되어 각기 독립되어 있었으며, 각부 장관의 경우 복수제가 많았다.

★ 바로알기
② 중앙군인 9서당이 군사력의 핵심을 이루었다.

③ 사심관제도는 중앙의 고관들로 하여금 자기 출신지의 사심관으로 임명하여 지방을 통제하도록 한 제도로 사심관은 부호장 이하의 향리를 임명할 수 있었으며, 향리 감독, 풍속 교정 등의 임무 뿐만 아니라 그 지방의 치안에 대한 연대 책임을 지도록 하였다. 신라의 마지막 왕인 경순왕(김부)을 경주의 사심관으로 임명한 것이 최초이다. 기인제도는 지방 호족(향리)의 자제를 인질로 삼아 수도에 두고 출신지의 일에 대한 고문 역할을 하게 한제도이다.

④ 독서삼품과를 통해 형성된 관리층은 육두품이 중심이 되었다.



정답 : ①

① 신라는 집사부 아래 13개의 관부가 집사부 시중의 관할 하에 있지 않고 왕과 직결되어 있었다. 그리고 대부분의 장관(令)이나 차관(卿)은 복수(2~3인)로 상호 견제하면서 귀족 가문을 배려하는 차원에서 운영되었다.

② 신라의 삼국통일 달성은 지방군사조직에 특히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 통일 이전의 5주체제에 맞게 편성되어 영토확장에 주도적 역할을 담당했던 보병 중심의 6정이 폐지되고, 통일신라의 9주 체제에 걸맞게 중앙군의 9서당, 지방군의 10정으로 구성되었다. 부연하자면 통일전쟁에서는 기병이 아무리 선제공격을 하여 적을 격퇴시켰더라도 보병이 성을 점령해야만 자국의 영토로 확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보병군단인 6정의 역할이 중요했지만, 삼국통일을 달성한 후에는 종래의 6정군단이 주둔하였던 지역이 내지(內地)로 되었기 때문에 더이상 6정을 존속시킬 필요가 없어졌다. 이에 통일신라는 보병군단인 6정을 해체하고, 지방민의 반란에 효과적으로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기병부대를 중심으로 군사조직을 재편성하였다.

③ 사심관 제도가 아니라 상수리 제도이다. 사심관 제도는 고려 태조 왕건 때 마련된 제도로 중앙의 고관을 자기 출신지의 사심관으로 임명하였으며, 신라의 마지막 왕이었던 경순왕 김부가 경주의 사심관으로 임명되었다. 사심관은 중앙에 거주하면서 자기 출신지에서 부호장 이하의 향리 임명권을 부여받고, 자기 출신지의 치안과 행정에 대한 연대 책임을 지도록 하였다.

④ 원성왕 때에는 독서삼품과를 설치하여 학생들의 학문 성적에 따라 상, 중, 하로 나누어 관리를 뽑았으나, 진골 귀족의 반발로 성과를 거두지는 못하였다.



8. 강화도 조약 이후 외국에 파견된 시찰단 ㈎~㈑를 파견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 박정양 등의 조사 시찰단
㈏ 김홍집 등의 2차 수신사
㈐ 민영익 등의 보빙사
㈑ 김윤식 등의 영선사
① ㈏ - ㈎ - ㈐ - ㈑
② ㈏ - ㈎ - ㈑ - ㈐
③ ㈏ - ㈑ - ㈎ - ㈐
④ ㈏ - ㈑ - ㈐ - ㈎


8. 정답 ②

★ 해설
(나) 2차 수신사 파견(1880) - (가) 조사시찰단 파견(1881. 4) - (라) 영선사 파견(1881. 9) - (다) 보빙사 파견(1883)



정답 : ②

(나) 김홍집 등의 2차 수신사 파견은 1880년 5월의 사실이다. 이때 김홍집은 주일 청나라 외교관 황쭌셴(황준헌)의 『조선책략』을 받아서 귀국한 후 고종에게 바쳤다.

(가) 박정양, 어윤중, 홍영식 등을 중심으로 일본의 정세를 파악하고, 각종 근대 산업 시설을 시찰하기 위한 조사 시찰단의 파견은 1881년 4월의 사실이다.

(라) 김윤식을 대표로 한 영선사의 파견은 1881년 9월의 사실이다. 김윤식을 대표로 38명의 유학생들을 청에 파견하여 무기 제조법과 근대적 군사 훈련법을 배우게 하였으나, 정부의 재정 지원부족과 국내 사정으로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고 귀국하였다. 하지만 이들의 귀국과 함께 국내 최초의 근대 무기 제조 공장인 기기창이 설립(1883)되었다.

(다) 1882년 조미 수호 통상 조약 체결 이후 이듬해 주한공사로 푸트가 조선에 오자 조선은 이에 대한 답례로 민영익을 전권대신으로 하여 보빙사를 파견하였다.(1883. 6~9)




9. 다음의 글을 쓴 인물이 활동하던 시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신라 · 고구려 · 백제가 나라를 세우고 솥발처럼 대립하면서 예를 갖추어 중국과 교통하였으므로, 범엽(范曄)의 '한서(漢書)'나 송기(宋祁)의 '당서(唐書)'에 모두 열전(列傳)을 두었는데, 중국의 일만을 자세히 기록하고 외국의 일은 간략히 하여 갖추어 싣지 않았습니다. 또한 그 고기(古記)라는 것은 글이 거칠고 졸렬하며 사적(事跡)이 누락되어 있어서, 임금된
이의 선함과 악함, 신하된 이의 충성과 사특함, 나라의 평안과 위기, 백성들의 다스려짐과 혼란스러움 등을 모두 드러내어 경계로 삼도록 하지 못하였습니다.
< 보 기 >
ㄱ. 윤관이 북방의 거란족을 몰아내고 동북 지역에 9성을 세웠다.
ㄴ. 이자겸의 난이 진압된 후 15개조의 유신령이 발표되었다.
ㄷ. 분청사기가 유행할 정도로 화려한 문벌귀족 문화를 꽃피웠다.
ㄹ. 예종과 인종은 관학 부흥에 힘쓰고 유학 진흥을 위해 노력하였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ㄹ
④ ㄷ, ㄹ


9. 정답 ③

★ 해설
제시된 자료는 김부식(1075~1151)의 <삼국사기>이다. 김부식은 1096년 숙종 때 과거에 급제해 의종 5년(1151)까지 살았던 인물이다. 따라서 ㄴ과 ㄹ이 답이된다.

★ 바로알기
ㄱ. 윤관이 동북 9성을 축조한 것은 예종 때인 1107년이므로 김부식이 활동한 시기는 맞다. 그러나 윤관이 거란족을 몰아내고 동북 9성을 축조한 것이 아니라 여진족을 몰아내고 동북 9성을 축조하였다.

ㄷ. 분청사기는 고려 말에 나타나 15세기까지 유행하였다.



정답 : ③

제시된 자료는 김부식의 『삼국사기』의 서문에 해당하는 글의 내용 중 일부이다. 따라서 김부식(1075~1151)이 활동하던 고려 중기의 사실을 찾는 문제이다.

ㄴ. 이자겸과 척준경을 제거한 이후 인종은 서경에서 “작년(1126년) 2월 난신적자들이 틈을 타서 일어나 음모가 발각됐으므로 짐은 부득이 다 법으로 다스렸다. 이로부터 잘못을 반성하고 몸을 책하니 덕에 부끄럼이 많다. 이제 일관의 논의로 서도(西都)에 행차하여 지난날 허물을 깊이 반성하고 새롭게 할 수 있는 가르침이 있기를 바라므로 중외에 포고한다”는 ‘유신지교(惟新之敎) 15개 조를 발표하였다.

ㄹ. 예종과 인종은 관학 진흥을 위한 여러 시책을 추진하였다. 예종은 국자감을 국학으로 개칭하고 국학 내에 7재라는 전문강좌를 설치하였으며, 도서관 겸 학문 연구소인 청연각, 보문각, 천장각, 임천각 등을 편찬하였다. 또한 일종의 장학 재단인 양현고를 두어 관학의 경제적 기반을 강화하였다. 한편 인종은 호학(好學)의 군주로서 개경에 경사 6학을 정비하고 향교를 중심으로 하여 지방 교육을 강화하였다.

ㄱ. 윤관은 북방의 여진족을 몰아내고 동북 지역에 9성을 축조(1109)하였다.

ㄷ. 소박하고 천진스러운 무늬가 어우러진 분청사기는 고려 말에 그 형태 나타났으며, 15세기에 널리 제작되었다. 이후 16세기부터 점차 세련된 백자가 본격적으로 생산되면서 점차 쇠퇴하였다.




10. 다음과 같은 군사 제도를 두었던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중앙에는 응양군과 용호군, 그리고 좌우위, 신호위, 흥위위, 금오위, 천우위, 감문위 등을 두어 국왕 호위, 수도 경비, 국경 방어, 경찰, 의장, 궁성과 도성문 수비 등의 역할을 수행하게 하였다.
① 장군들로 구성된 장군방, 상장군 ․ 대장군들로 구성된 중방이라는 합좌 기관이 있었다.
② 중앙군으로 10위를 두고 그 밑에 지방군이 있었다.
③ 다섯 군단으로 구성된 중앙군이 있었고 지방의 육군은 진관체제로 편성하였다.
④ 포수․ 사수 ․ 살수의 삼수로 나누어 훈련시켜 군사의 전문적 기능을 높였다.


10. 정답 ①

★ 해설
고려의 중앙군은 국왕의 친위 부대인 2군(응양군・용호군)과 수도 경비와 국경 방어를 담당하는 6위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고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찾아야 한다. 고려 시대에는 장군들로 구성된 장군방, 상장군·대장군들로 구성된 중방이라는 합좌 기관이 있었다.

★ 바로알기
② 고려의 중앙군은 2군 6위로 구성되었다. 10위는 발해의 중앙군이다.
③ 조선 세조 때에는 중앙군인 5위제와 진관 체제(지역 단위 방위 체제)를 실시하였다.
④ 조선의 훈련도감에 대한 설명이다.



정답 : ①

제시된 자료의 군사 제도는 고려의 2군 6위에 대한 내용이다. 따라서 고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찾는 문제이다.

① 고려는 국방 문제와 군사 문제를 담당하던 무신들의 합좌 기구로 중방(重房)이 존재하였다. 중방의 구성은 2군 6위에 속한 총 8개 군단의 지휘관으로서 16명의 상장군(上將軍, 정3품), 대장군(大將軍, 종3품)이 회의를 통하여 군사적 중대 사안을 결정하였다. 중방 회의의 의장은 응양군의 상장군인 반주(班主)였다. 한편 중방은 초기에는 숭문천무로 인해 기능이 상대적으로 미약하였으나, 무신 정변 이후정치적 역할이 강화되면서 국가 중추 기구로 발전하였다.

② 중앙군으로 10위를 둔 국가는 발해이다.

③ 조선 시대의 군사제도, 5위제와 진관체제에 대한 내용이다.

④ 조선 시대 임진왜란 때 설치된 훈련도감에 대한 내용이다.




11. 다음 내용이 포함된 조약으로 옳은 것은?
1. 대마도주(對馬島主)의 세사미두(歲賜米豆)는 100석으로 한다.
1. 대마도주의 세견선(歲遣船)은 20척으로 한다.
1. 왜관의 체류 시일은 대마도주가 특별히 보낸 사람은 110일, 기타 세견선은 85일이고, 표류인 등을 송환할 때는 55일로 한다.
① 기유약조
② 임신약조
③ 정미약조
④ 계해약조


11. 정답 ①

★ 해설
제시된 내용이 포함된 조약은 1609년(광해군 1) 일본과 맺은 기유약조이다.

기유약조의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다.
③ 대마도주의 세사미두(歲賜未豆)는 100석으로 한다.
④ 대마도주의 세견선은 20척으로 한다.
⑦ 모든 출래선(出來船)은 도주문인(島主文引:일종의 통행 증명서)을 소지해야 한다.
⑪ 왜관의 체류시일은 대마도주 특송 110일, 기타 세견선 85일, 표류인(漂流人)의 송환 등 기타 55일로 제한한다.

★ 바로알기
② 삼포왜란으로 우리나라와 일본 간의 교통이 중단되자, 일본은 다시 교역을 청해 왔고, 이에 따라 임신약조(중종, 1512)를 체결하고 제포만 개항하였다.

③ 명종 때인 1547년 일본의 간청으로 사량진왜변 이후 중단되었던 일본과의 국교를 다시 허용하였다.(정미약조)

④ 세종 때 3포의 개항 이후 미곡·면포 등의 수출이 거액에 달하여 끼치는 해가 컸다. 이에 계해약조를을 맺어 세견선(조선에서 내왕을 허락한 무역선)은 1년에 50척, 조선에서 내주는 세사미두는 200석으로 제한하였다.(계해약조, 1443, 세종25)



정답 : ①

제시된 자료의 내용이 포함된 약조는 임진왜란 이후 단절된 조일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1609년(광해군 1) 대마도(對馬島, 쓰시마 섬) 도주와 맺은 기유약조이다.

① 기유약조는 일본의 대조선 외교에 대한 규정을 담고 있었는데, 이전의 임신약조, 계해약조보다 더 많은 제한을 두었으며, 특히 대마도에 무역의 독점적 권한을 갖게 하였다. 조선에 입국하는 일본인은 대마도주가 발행한 여행증명서인 문인(文引)을 소지해야 하며 입국 지역은 부산포로 한정했다. 기유약조를 통한 국교 재개 이후 조선은 일본에 통신사(通信使)를 파견하여 양국의 평화적 관계는 19세기 전반까지 지속되었다.

② 임신약조(중종 7, 1512)는 제포만 개항하고, 세견선 25척, 세사미두 100석으로 교역을 제한하였다.

③ 정미약조(명종 2, 1547)는 1544년 사량진 왜변 이후 중단되었던 일본과의 국교를 다시 허용한 조약으로 세견선 25척 허용, 일본인에 대한 철저한 통제 등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④ 계해약조는 삼포 개항 후 지나치게 증가된 무역량을 제한하는 조치를 취하게 되었는데, 일본과의 무역량은 최대 세사미두 200석, 세견선(歲遣船)은 50척으로 제한하였다.




12. 우리나라의 국보와 그 제작 시대를 연결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조선 - 징비록, 비변사등록, 송시열 초상
② 고려 -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안향 초상, 상원사 동종
③ 통일신라 -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성덕대왕신종, 보은 법주사 석련지
④ 백제 -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익산 미륵사지 석탑,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12. 정답 ②

★ 해설
강원도 평창군에 상원사 종은 고려시대가 아니라 통일신라시대의 범종으로 우리나라 최고(最古)의 범종이다. 신라 성덕왕 24년(725)에 만들어졌다.



정답 : ②

②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국보 제18호)과 안향 초상(국보 제111호)은 고려 시대에 제작되었지만 상원사 동종(국보 제36호)은 통일 신라 때 제작되었다.

① 서애 유성룡의 『징비록』(국보 제132호), 『비변사등록』(국보 제152호), 송시열 초상(국보 제239호)은 모두 조선시대에 제작되었다.

③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국보 제6호), 성덕대왕 신종(국보 제29호), 보은 법주사 석련지(국보 제 64호)는 모두 통일 신라 시대의 문화유산이다.

④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국보 제9호), 익산 미륵사지 석탑(국보 제11호),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국보 제84호)는 모두 백제 시대와 관련된 문화 유산이다.




13. 빈칸에 들어갈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________은(는) 조선 총독에게 정치 · 경제범의 즉시 석방, 서울의 3개월 분 식량 확보, 치안 유지 등을 위한 정치 운동 · 학생 및 청년 활동 · 노동자와 농민 동원 등에 대한 불간섭 등을 요구하였다.
① 만주 길림시에서 의열단을 조직하여 일본을 무너뜨리고 민중적 조선을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민족 투쟁을 벌였다.
② 김규식과 함께 좌우익의 대표로서 10인의 좌우합작위원회를 구성하여 남북한 통일정부 수립운동을 벌였다.
③ 단독정부 수립운동에 반대하며 분단을 막고 통일정부 수립을 위하여 북한에 남북 지도자 연석회의를 제안하였다.
④ 좌우 협력의 민족 운동인 신간회 운동을 주도한 인물 중 한 사람으로 조선학 운동을 통해 민족문화 수호에 앞장섰다.


13. 정답 ②

★ 해설
빈 칸에 들어갈 인물은 여운형이다. 일제의 패망이 임박하자 조선 총독부는 한국에 거주하는 일본인의 무사 귀환을 보장 받기 위해 여운형과 협상하였다. 여운형은 정치범과 경제범의 석방, 조선인의 정치 활동에 대한 불간섭 등의 약속을 받고 조선 건국 동맹을 모체로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를 결성하였다. 1946년 7월에는 김규식(중도 우익) 등과 함께 좌우 합작 위원회를 발족하였다.

★ 바로알기
① 만주 길림에서 의열단을 조직한 인물은 김원봉이다.

③ 김구와 김규식 등은 남북 분단을 저지하기 위하여 북한에 남북 협상을 제의(1948. 2)하였고, 이를 북한이 수용하면서 남북 협상이 이루어지게 되어 1948년 4월 평양에서 약 10일간에 걸친 연석회의, 4김 회담 등이 열렸다.

④ 안재홍에 대한 설명이다.



정답 : ②

제시된 자료의 빈칸에 해당하는 인물은 몽양 여운형이다. 여운형은 8⋅15 광복 전후 조선 총독부와 치안 유지권 이양을 협의하고, 건국을 준비하기 위한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를 결성하였다.

② 1946년 5월 여운형은 김규식, 원세훈 등과 좌우 합작 운동을 전개하였고, 7월 25일 좌우 합작위원회가 발족되었다. 좌우 합작 위원회는 10월 7일 모스크바 3상 회의 결정에 따른 임시 정부수립, 신탁 문제는 통일 임시 정부 수립 후 결정, 중요 산업 국유화와 체감 매상과 무상 분배 원칙 하의 토지 개혁 실시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좌우 합작 7원칙을 발표하였다.

① 약산 김원봉에 대한 내용이다. 김원봉은 1919년 11월 만주 길림성에서 윤세주 등과 함께 암살, 파괴, 폭동 등의 운동 방략을 가지고 독립을 쟁취하려는 단체인 의열단을 설립하였다. 한편 신채호의 ‘조선 혁명 선언’을 의열단 강령으로 삼고 ‘민중적 조선’의 건설을 목표로 활동을 전개하였다.

③ 백범 김구(또는 김규식)에 대한 내용이다. 남북 제정당·사회단체 연석회의(1948. 4. 27.~4. 30.)는 김구와 김규식이 제안하였으며, 이에 김일성과 김두봉이 응함으로써 성사되었다. 이 남북협상에서는 분단의 고착화를 우려하여 단독정부 수립(5·10 총선거)에 반대하면서, 미·소 양군의 동시 철수와 통일 정부 수립을 주장하였다.

④ 민세 안재홍에 대한 내용이다. 안재홍은 비타협적 민족주의자의 대표적인 인물로서 1927년 좌우 협력 성격의 신간회 운동을 주도하였으며, 1934년 다산 정약용 서거 99주년 기념 사업을 계기로 정인보, 문일평 등과 함께 조선학 운동을 전개하였다.




14. 4 · 19 혁명으로 집권한 민주당 정부의 시정 방침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외자 도입과 경제 원조 확대를 통한 경제 개발 계획 추진
② 반공을 국시의 제일로 삼아 반공 태세를 재정비 ․ 강화
③ 일본과의 국교 정상화 및 유엔 감시하의 남북한 자유 선거에 의한 통일 달성
④ 군비 축소와 군의 정예화 추진을 통한 국방력 강화 및 군의 정치적 중립 확보


14. 정답 ②

★ 해설
①,③ 장면 내각(민주당 정부)은 ‘경제 제일주의’를 내걸고 국토 개발 사업에 착수하고,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을 수립하였으나 5·16군사 정변으로 시행하지는 못하였다. 장면 내각은 유엔 감시 하의 남북 총선거를 주장하며 민간 차원의 통일 운동을 반대하였다.

④ 장면 내각은 군비 축소 및 군의 정예화 추진을 통한 국방력 강화 및 군의 정치적 중립 확보를 시정 방침으로 하였다.

★ 바로알기 ② 5·16 군사 정변 때 발표한 혁명 공약에 대한 내용이다.



정답 : ②

② 반공을 국시의 제일로 삼아 반공 태세를 재정비하고 강화할 것을 제시한 것은 5․16 군사 정변을 일으켰던 박정희 군사 정권이었다.

① 4․19혁명 이후 장면 내각은 경제 제일주의를 내세우며 여러 경제 정책 등을 마련하였다. 대표적으로 정부의 종합적인 장기경제 개발 계획은 5개년 경제 개발 계획으로 나타났는데 이를 위해 일본으로부터의 자본 도입 및 미국, 서독으로부터의 장기 차관 도입을 추진하였다.

③ 1960년 장면내각이 출범하면서 일본은 조속한 한일회담을 타결하려 하였으나, 이 과정에서 장면 내각은 23억 달러의 배상금을 요구했고 이 회담은 결렬되었다. 한편 장면 내각은 유엔 감시하에 남북한 자유 총선거를 제의하는 등 학생과 일부 정치인을 중심으로 중립화 통일론에 대한 논의가 전개되었다.

④ 장면 내각은 경제 개발을 위한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20만 명의 감군안을 공약한 바 있었지만, 이에 대해 미국이 반대하였다. 한편 장면 내각은 “국군의 군기를 확립하고 부패를 숙청하는 동시에 군의 정치적 중립을 확보하고 군내 파벌 조성을 방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국회 시정연설에서 밝히기도 하였다.




15. 다음은 조선 시대의 한양을 설명한 것이다. ㈎~㈑에 각각 들어갈 단어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한양은 통치의 중심 공간인 ( ㈎ )을 ( ㈏ ) 아래에 남향으로 짓고 그 좌우에 종묘와 사직을 건설하였다. ( ㈐ )은 안산에 해당한다. 도성에는 네 개의 대문이 건설되었는데 동은 흥인지문, 서는 ( ㈑ ), 남은 숭례문, 북은 숙정문이다.
       ㈎       ㈏     ㈐    ㈑
① 경복궁 인왕산 남산 소의문
② 경복궁 백악산 남산 돈의문
③ 창덕궁 인왕산 낙산 소의문
④ 창덕궁 백악산 낙산 돈의문


15. 정답 ②

★ 해설
한양은 통치의 중심 공간인 (경복궁)을 (백악산) 아래에 남향으로 짓고 그 좌우에 종묘와 사직을 건설하였다. (남산)은 안산에 해당한다. 도성에는 네 개의 대문이 건설되었는데 동은 흥인지문, 서는 ( 돈의문 ), 남은 숭례문, 북은 숙정문이다.



정답 : ②

② (가) 조선의 법궁인 경복궁을 기준으로 보면, 북 현무는 백악산, 남 주작은 남산, 좌 청룡은 낙산, 우 백호는 인왕산이다. (나) 백악(북악)산은 조선의 수도 한양의 주산으로 한양의 지세는 백악을 기준으로 하여 형국이 이루어진다. 한편 조선은 유교 이념에 따라 궁궐인 경복궁을 중심으로 왼쪽인 동쪽에 종묘를, 오른쪽인 서쪽에 사직을 배치하였다. (다)는 남산으로 서울의 형국을 형성하던 내사산의 하나로 풍수지리상 안산 겸 주작에 해당하는 매우 중요한 산이다. (라) 한편 한양을 둘러싼 4대문은 동으로 흥인지문, 서는 돈의문, 남은 숭례문, 북은 숙정문이다. 소의문은 한양의 4소문(小門)의 하나로 서쪽의 소문이다.




16. 다음의 내용과 관련된 단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국민에게 민족 의식과 독립사상 고취
2. 동지를 발견하고 단합하여 국민 운동 역량 축적
3. 상공업 기관 건설로 국민의 부력(富力) 증진
4. 교육 기관 설립으로 청소년 교육 진흥
① 평양에 대성학교, 정주에 오산학교를 설립하였다.
② 평양 근교에 자기(磁器)회사를 설립, 운영하기도 하였다.
③ 평양과 대구에 태극서관을 설립하여 출판 사업을 벌였다.
④ 통감부가 설치된 직후에 정치 집회가 금지되면서 해산당했다.


16. 정답 ④

★ 해설
제시된 자료와 관련된 단체는 신민회이다.
① 신민회는 민족 교육 육성을 위해 평양에 대성학교(안창호), 정주에 오산학교(이승훈)를 설립하였다.

②,③ 신민회는 민족 산업 육성을 위해 평양 근교에 자기 회사를 설립, 운영하기도 하였고, 평양과 대구에 태극서관을 설립하여 출판 사업을 벌였다.

★ 바로알기 ④ 신민회는 1910년 국권피탈로 총독부가 설치된 후 1911년 105인 사건으로 와해되었다. 대한 자강회가 고종 강제 퇴위 반대 운동을 주도하다가 1907년 통감부에 의해 해산되었다.



정답 : ④

제시된 자료와 관련된 단체는 ‘신민회’이다.

④ 통감부 설치 이후 정치 집회를 금지하는 보안법이 제정되며 해산 당한 대표적인 단체는 대한자강회이다. 신민회는 한일 병합 이후 105인 사건 등으로 큰 타격을 받아 국내 조직이 해체되었다.

① 신민회는 평양에 대성학교, 정주에 오산학교, 안악에 양산학교를 설립하여 교육 활동에도 주력하였다.

②, ③ 신민회는 민족 자본을 일으키기 위해 평양 자기 제조 주식회사를 설립하였고, 서울과 평양 및 대구에 태극서관을 설립하여 표면적으로는 식산흥업을 바탕으로 한 계몽 활동을 전개하였다.




17. 조선 시대 과거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문과의 소과에는 경학에 뛰어난 인재를 선발하는 진사과와 문학적 재능이 뛰어난 인재를 선발하는 생원과가 있었다.
② 소과의 1차 시험인 초시는 각 도의 인구 비율에 따라 선발 인원을 배분하였다.
③ 소과 합격 증서를 백패, 대과 합격 증서를 홍패라 하였다.
④ 무과에는 서얼도 응시가 가능하였다.


17. 정답 ①

★ 해설
② 소과의 초시(1차)에서는 각 도의 인구 비율로 약 700명을 뽑았으며, 복시(2차)에서는 성적순으로 각각 100명 씩 선발하였다.

③ 소과 합격자는 백패라는 합격증을 받고 생원과 진사가 되었다. 문과(대과) 복시에 합격하면 홍패라는 합격증을 받고 관직이 보장되었다.

④ 무과에는 서얼과 중간 계층이 주로 응시하였다.

★ 바로알기 ① 경학에 뛰어난 인재를 선발하는 것이 생원과이고, 문학적 재능이 뛰어난 인재를 선발하는 시험이 진사과이다.



정답 : ①

① 조선은 대과(大科)라고 불리는 문과에 응시할 자격을 부여하는 생원시(生員試), 진사시(進士試)를 운영하였는데, 이 두 시험을 소과(小科) 또는 생원⋅진사를 뽑는 시험이라고 하여 생진시(生進試)라고 칭하였다. 이 중 진사시는 고려 시대의 제술과와 마찬가지로 시(詩)⋅부(賦)⋅책(策) 등의 글짓기 능력을 평가하는 시험이며, 생원시는 고려 시대의 명경과와 마찬가지로 사서오경(四書五經)을 읽고 해석하는 능력을 시험하는 것이다.

② 소과는 1차 시험인 초시에서 7배수를 뽑았는데, 이는 각 도의 인구비율로 강제 배분되었다.

③ 소과 합격자에게는 합격 증서로서 백패(白牌)를 주었으며, 대과 합격자에게는 홍패를 주었다.

④ 서얼은 문과 응시가 제한되어 있었지만, 무과나 잡과의 경우에는 별다른 제한이 없었다.



18. 우리나라의 역대 대통령 선거와 관련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1979년 대통령 선거에서 10대 대통령으로 최규하가 당선되었다.
② 1980년 대통령 선거에서 11대 대통령으로 전두환이 당선되었다.
③ 1978년 대통령 선거에는 민주공화당 후보로 박정희가 단독 출마하였다.
④ 1972년 대통령 선거에는 민주공화당 후보로 박정희, 신민당 후보로 김대중이 출마하였다.


18. 정답 ④

★ 해설
① 10·26 사태로 박정희 대통령이 서거하자 정부는 비상 계엄령을 선포하였으며, 국무총리였던 최규하가 통일 주체 국민 회의에서 10대 대통령으로 선출(1979. 12)되었다.

② 1980년 8월 최규하 대통령이 사임하자, 통일 주체 국민 회의에서 전두환이 11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10월에는 8차 개헌을 하였는데 이 헌법의 골자는 대통령 선거인단이 간접 선거로 대통령을 선출하고, 대통령의 임기는 7년 단임으로 한 것이었다. 1981년 2월에는 개정된 헌법에 따라 대통령 선거인단의 간접 선거로 전두환이 다시 대통령으로 선출되고, 3월에 12대 대통령으로 취임함으로써 5공화국이 출범하였다.

③ 1978년 7월 6일 통일주체국민회의를 통한 간접선거로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가 단독 출마하여 제9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 바로알기
④ 1971년 4월 박정희가 신민당의 김대중 후보를 물리치고 국민의 직접 선거로 7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그러나 이 선거에서 김대중 후보는 야당 바람을 일으키며 선전하였다.



정답 : ④

④ 1972년 8대 대통령 선거는 유신헌법 공포 이후 통일 주체 국민 회의를 통한 간접선거에 의해 박정희가 선출되었다. 박정희와 김대중이 각각 민주공화당, 신민당 후보로 출마한 선거는 1971년 제7대 대통령 선거이다.

① 1979년 10월 26일 김재규에 의한 박정희 대통령의 서거 이후 전국 계엄령이 선포되었고 통일주체 국민 회의에서는 최규하를 제10대 대통령으로 선출하였다(1979. 12. 6)

② 1979년 12․12 군사 쿠데타 이후 실권을 장악한 전두환은 통일 주체 국민 회의에 의한 간선제를 통해 최규하에 이어 제11대 대통령에 취임하였다(1980. 9).

③ 1978년 제9대 대통령 선거 역시 유신 헌법에 의해 통일 주체 국민 회의를 통한 간접 선거에 의한 방법으로 치러졌으며, 박정희가 단독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 조선 후기 토지 개혁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 에서 모두 고르면?
ㄱ. 연암 박지원은 한전론(限田論)을 제안하였는데, 토지 소유의 상한선을 정하면 토지 소유의 양극화를 해소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ㄴ. 풍석 서유구는 둔전론(屯田論)을 주장하였는데, 소농 생활의 안정을 위해서는 세금을 줄일 뿐만 아니라 지주제도 철폐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ㄷ. 다산 정약용은 정전론(井田論)을 제시하였는데, 구획이 가능한 곳은 정자(井字)로, 불가능한 곳은 계산상으로 구획한 뒤 노동력의 양과 질에 따라 토지를 차등적으로 분급할 것을 주장하였다.

ㄹ. 성호 이익은 농가를 안정시키는 방법으로 매 호마다 영업전(永業田)을 갖게 하고, 그 이외의 토지는 매매를 허락하여 점진적으로 토지 균등을 이루어 나가자고 주장하였다.
① ㄱ, ㄴ, ㄷ
② ㄱ, ㄴ, ㄹ
③ ㄱ, ㄷ, ㄹ
④ ㄴ, ㄷ, ㄹ


19. 정답 ③

★ 해설
서유구는 중상학파(중상주의 실학자)로 분류된다. 그는 조선 후기의 농업 경영, 기술 혁신을 종합하여 생산력 제고와 경영형 부농의 경영 원리를 바탕으로 한 임노동하의 지주제를 구상하여 체계화하였다.



정답 : ③

ㄱ. 박지원은 『과농소초(課農小抄)』에서 ‘한민명전의(限民名田議)’라고 하는 토지의 재분배론을 주장하였다. 이는 일종의 한전법으로 토지 소유 상한선을 설정하여 그 이상의 소유는 허락치 않으며, 이렇게 하면 수십 년 후 매매와 상속을 통해 토지가 균등해 질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그는 이 방법을 통해 정전에서 추구하였던 균산의 취지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ㄷ. 정약용은 『경세유표(經世遺表)』의 ‘정전의(井田議)’에서 전국의 토지를 국유화하여 정전을 편성하고, 국가 재정으로 사유 농지를 매입하여 전체 농지의 9분의 1을 공전으로 만들고 거기에서 산출되는 수확량을 조세로 충당하자고 제안하였다. 정약용은 이를 통해서 농업전문화를 통한 상업적 농업을 추구하며 그 경영규모는 100무를 단위로 하는 부농에 의한 자본주의적 개별경영을 지향했다.

ㄹ. 이익은 『곽우록』에서 한전론을 주장하면서 한 가정의 생활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토지인 영업전을 인정하고, 영업전의 매매는 철저히 금지할 것을 주장하였으며, 그 외의 토지는 매매가 가능하도록 하여 토지 문제를 개혁하고자 하였다.

ㄴ. 서유구는 처음에는 한전론을 주장하였으나 이후 현실적 방안으로서 둔전론(屯田論)을 주장하였다. 이는 국가가 주체가 되는 국영 농장제의 개혁론으로서, 정부가 경영형 부농층으로 하여금 무전(無田) 농민을 고용하여 하나의 집단농장을 형성하고 경영하게 하려고 한 것이었다. 이러한 서유구의 둔전론은 경영형 부농층을 기반으로 한 개혁농정을 통해 사회개혁을 추진하려는 획기적인 안이었다. 즉, 토지국유론이 이루어진다면 봉건지주층은 반란을 일으킬 것이라고까지 생각하면서 지주층의 반발을 피하고 그것을 견제할 수 있는 방안을 생각하게 되고, 여기에서 도출된 것이 국영농장의 설치와 그 농장의 경영을 위한 경영형 부농층과의 유대였던 것이다. 따라서 지주제를 철폐해야 한다는 내용은 옳지 않다.



20. 1894년 제1차 갑오개혁 내용 중 동학 농민군의 주장과 가장 관련이 깊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ㄱ. 삼사 언론기관 폐지
ㄴ. 과부의 재가 허용
ㄷ. 공·사 노비법 혁파
ㄹ. 중국연호 폐지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ㄷ, ㄹ


20. 정답 ③

★ 해설
동학 농민군의 폐정개혁안 12개 조의 “청상과부의 개가(재혼)를 허용한다.”, “노비 문서를 소각한다.” 등의 내용이 있다. 따라서 1차 갑오개혁 내용 중 과부의 재가 허용과 공·사 노비법 혁파가 동학 농민군의 주장과 관련이 깊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동학 농민들의 요구는 갑오개혁에 부분적으로 반영되었다.



정답 : ③

ㄴ, ㄷ. 동학 농민군이 제시한 폐정개혁안의 내용 중 과부의 재가 허용(청상 과부의 개가를 허용한다), 공사노비법의 혁파(노비 문서는 모두 소각한다)의 내용은 제1차 갑오개혁 때 반영되었다.

ㄱ, ㄹ. 삼사 언론기관의 폐지와 중국 연호 폐지는 동학 농민군이 제시한 주장과 아무런 관련이 없다.





※ 문제 A 책형


※ 정답 A 책형
문제 1 문제 2 문제 3 문제 4 문제 5
4 1 2 3 1
문제 6 문제 7 문제 8 문제 9 문제 10
4 1 2 3 4
문제 11 문제 12 문제 13 문제 14 문제 15
4 1 4 3 3
문제 16 문제 17 문제 18 문제 19 문제 20
1 2 2 2 2



문제 PDF 다운로드
정답 PDF 다운로드

댓글 쓰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