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6월 18일에 시행한 지방직 9급 공무원 시험 식용작물 기출문제 (C책형) 입니다.
1. 보리의 재배적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내한성이 강할수록 대체로 춘파성 정도가 낮아서 성숙이 늦어진다.
② 수량에 영향이 없는 한 조숙일수록 작부체계상 유리하다.
③ 습해가 우려되는 답리작의 경우 껍질보리보다 쌀보리가 유리하다.
④ 휴면성이 없거나 휴면기간이 짧은 품종은 수발아가 잘된다.
(해설) ③ 습해가 우려되는 답리작의 경우 뿌리로의 통기가 양호한 것, 뿌리의 분포가 얕고 넓은 것, 뿌리조직의 목화 등에 의하여 유해물질에 대한 저항성이 강한 것, 새 뿌리의 발생 능력이 큰 것, 물속에서 발아 속도가 빠른 것, 어린 식물의 건물율이 높은 것, 까락이 긴 것, 밀은 보리보다 습해에 강하다. 껍질보리는 쌀보리보다 내습성이 강하여 유리하다.
① 내한성이 강할수록 대체로 춘파성 정도가 낮아서 (추파성 정도가 높아서) 성숙이 늦어진다.
② 수량에 영향이 없는 한 조숙일수록 작부체계상 유리하다.
④ 휴면성이 없거나 휴면기간이 짧은 품종, 백립종, 초자질립, 만숙종, 이삭에 털이 많은 품종은 수발아가 잘된다.
① 내한성이 강할수록 대체로 춘파성 정도가 낮아서 (추파성 정도가 높아서) 성숙이 늦어진다.
② 수량에 영향이 없는 한 조숙일수록 작부체계상 유리하다.
④ 휴면성이 없거나 휴면기간이 짧은 품종, 백립종, 초자질립, 만숙종, 이삭에 털이 많은 품종은 수발아가 잘된다.
2. 콩의 분류할 때, 백목(白目), 적목(赤目), 흑목(黑目)으로 분류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것은?
① 종실 배꼽의 빛깔
② 종실의 크기
③ 종피의 빛깔
④ 콩의 생태형
(해설) ① 콩의 분류할 때, 종실 배꼽의 빛깔에 따른 분류 : 백목(白目), 적목(赤目), 흑목(黑目)으로 분류한다.
① 종실 배꼽의 빛깔 : 백목, 적목(다목), 흑목 등으로 불리운다.
② 종실의 크기: 종실이 굵은 차례로 왕콩, 굵은콩, 중콩, 좀콩 및 콩나물 콩 등으로 구별된다.
③ 종피의 빛깔: 흰콩, 누렁콩, 푸른콩, 붉은콩(밤콩), 검정콩 등으로 불린다.
④ 콩의 생태형
㉠ 여름콩(올콩) : 봄에 씨를 뿌려 늦여름에 수확한다.
㉡ 가을콩(그루콩) : 여름에 씨를 뿌려서 늦가을에 수확한다.
㉢ 중간형 : 이들의 중간적 성질을 갖는 중간형이 있다.
< 참 조> 4 분류 및 품종
(1) 분 류
콩은 특성이나 용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① 생태형에 따른 분류
㉠ 여름콩(올콩) : 봄에 씨를 뿌려 늦여름에 수확한다.
㉡ 가을콩(그루콩) : 여름에 씨를 뿌려서 늦가을에 수확한다.
㉢ 중간형 : 이들의 중간적 성질을 갖는 중간형이 있다.
② 신육형에 따른 분류
㉠ 유한신육형
ⓐ 양생장기간과 생식생장기간의 중복기간이 짧은 형태이다.
ⓑ 개화에 도달하면 주경, 분지의 신장과 잎의 전개가 중지되고 개화기간이 짧고 개화가 고르며 가지가 짧고, 꼬투리가 조밀하게 달리는 신육형이다.
ⓒ 우리나라의 품종은 대부분 유한신육형이다.
㉡ 무한신육형
ⓐ 양생장기간과 생식생장기간의 중복기간이 상적으로 긴 형태이다.
ⓑ 개화가 시작된 이후에도 주경, 분지의 신장과 잎의 전개가 계속되고 따라서 개화기간이 길고 개화와 양생장이 병행되며 체로 키가 크고 가지가 길며, 꼬투리가 드문드문 달리는 신육형이다.
ⓒ 미국⋅중국의 품종은 부분 무한신육형이다.
㉢ 반무한형 : 최근에 중간형 품종이 육성되어 재배되고 있다.
③ 종실의 크기에 따른 분류 :
종실이 굵은 차례로 왕콩, 굵은콩, 중콩, 좀콩 및 콩나물 콩 등으로 구별된다.
④ 종피의 빛깔에 따른 분류 :
흰콩, 누렁콩, 푸른콩, 붉은콩(밤콩), 검정콩 등으로 불린다.
⑤ 배꼽 빛깔에 따른 분류 : 백목, 적목(다목), 흑목 등으로 불리운다.
⑥ 얼룩색 모양에 따른 분류 : 우렁콩, 메알콩, 선비잡이콩, 아주까리콩 등으로 구별하기도 한다.
⑦ 용도에 따른 분류
㉠ 보통콩(일반용) : 장류 및 두부 가공 등에 주로 이용된다. 입색은 황백색~황색 이고, 제 색은 백색~담색이며 100립중은 18g 이상으로 단백질 함량이 전체 38~45%까지 높을수록 좋다.
ⓐ 장류나 두부 : 수량이 많고 단백질 함량이 높으며, 종실이 굵직하고 잎색이 황백색 내지 황색인 것이다.
ⓑ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며 중립 내지 립종이 많다.
ⓒ 비린내가 거의 없는 진품콩과 진품콩 2호가 개발되었으며, 두유용의 두유콩도 개발되어 장려 품종으로 재배된다.
㉡ 밥밑콩 : 밥에 섞어 먹는 데 알맞다.
ⓐ 종실이 굵어 100립중은 20g 이상, 알칼리 붕괴도가 높고 흡수 팽창도가 크며 환원당 함량이 많은 주로 여름콩의 유색 품종이 좋다.
ⓑ 씨알이 20g 이상으로 굵고 흡수팽창도 크고 취반시 잘 물러야 하며 맛이 좋아야 한다.
㉢ 기름콩 : 기름짜기에 알맞다. 지유 함량이 17~20, 25%까지 높을수록 좋으며 소립이고 입색이 진하며 광택이 있고 제색이 높은 18g 이하가 좋다.
ⓐ 콩기름 생산에 쓰이는 품종들이다.
ⓑ 세계 식용유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콩기름이다.
ⓒ 우리나라에서는 값싼 원료콩을 전량 수입하여 가공해왔기 때문에 기름용 품 종이 없다.
ⓓ 소출이 많고 지방 함량이 높아야 하며, 씨알이 18g 이하 소립종으로 잘아야 한다.
㉣ 나물콩(쥐눈이콩) : 콩나물 재배형으로 알맞다. 입색은 황색~녹색으로 담색인 것이 좋고 소립종으로서 100립중이 14g 이하인 것이 알맞다.
ⓐ 콩나물은 암흑조건에서 싹을 키워 콩나물을 생산하기 위한 품종을 말한다.
ⓑ 콩알이 작을수록 원료콩에 비해 생산되는 콩나물의 수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유리하다.
㉤ 풋베기콩 : 풋베기용으로 많이 이용된다. 종실, 잎, 줄기의 생장이 무성하며 풋 베기 수량이 많고 씨알이 잘아서 종자량이 적은 것이 알맞다.
① 종실 배꼽의 빛깔 : 백목, 적목(다목), 흑목 등으로 불리운다.
② 종실의 크기: 종실이 굵은 차례로 왕콩, 굵은콩, 중콩, 좀콩 및 콩나물 콩 등으로 구별된다.
③ 종피의 빛깔: 흰콩, 누렁콩, 푸른콩, 붉은콩(밤콩), 검정콩 등으로 불린다.
④ 콩의 생태형
㉠ 여름콩(올콩) : 봄에 씨를 뿌려 늦여름에 수확한다.
㉡ 가을콩(그루콩) : 여름에 씨를 뿌려서 늦가을에 수확한다.
㉢ 중간형 : 이들의 중간적 성질을 갖는 중간형이 있다.
< 참 조> 4 분류 및 품종
(1) 분 류
콩은 특성이나 용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① 생태형에 따른 분류
㉠ 여름콩(올콩) : 봄에 씨를 뿌려 늦여름에 수확한다.
㉡ 가을콩(그루콩) : 여름에 씨를 뿌려서 늦가을에 수확한다.
㉢ 중간형 : 이들의 중간적 성질을 갖는 중간형이 있다.
② 신육형에 따른 분류
㉠ 유한신육형
ⓐ 양생장기간과 생식생장기간의 중복기간이 짧은 형태이다.
ⓑ 개화에 도달하면 주경, 분지의 신장과 잎의 전개가 중지되고 개화기간이 짧고 개화가 고르며 가지가 짧고, 꼬투리가 조밀하게 달리는 신육형이다.
ⓒ 우리나라의 품종은 대부분 유한신육형이다.
㉡ 무한신육형
ⓐ 양생장기간과 생식생장기간의 중복기간이 상적으로 긴 형태이다.
ⓑ 개화가 시작된 이후에도 주경, 분지의 신장과 잎의 전개가 계속되고 따라서 개화기간이 길고 개화와 양생장이 병행되며 체로 키가 크고 가지가 길며, 꼬투리가 드문드문 달리는 신육형이다.
ⓒ 미국⋅중국의 품종은 부분 무한신육형이다.
㉢ 반무한형 : 최근에 중간형 품종이 육성되어 재배되고 있다.
③ 종실의 크기에 따른 분류 :
종실이 굵은 차례로 왕콩, 굵은콩, 중콩, 좀콩 및 콩나물 콩 등으로 구별된다.
④ 종피의 빛깔에 따른 분류 :
흰콩, 누렁콩, 푸른콩, 붉은콩(밤콩), 검정콩 등으로 불린다.
⑤ 배꼽 빛깔에 따른 분류 : 백목, 적목(다목), 흑목 등으로 불리운다.
⑥ 얼룩색 모양에 따른 분류 : 우렁콩, 메알콩, 선비잡이콩, 아주까리콩 등으로 구별하기도 한다.
⑦ 용도에 따른 분류
㉠ 보통콩(일반용) : 장류 및 두부 가공 등에 주로 이용된다. 입색은 황백색~황색 이고, 제 색은 백색~담색이며 100립중은 18g 이상으로 단백질 함량이 전체 38~45%까지 높을수록 좋다.
ⓐ 장류나 두부 : 수량이 많고 단백질 함량이 높으며, 종실이 굵직하고 잎색이 황백색 내지 황색인 것이다.
ⓑ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며 중립 내지 립종이 많다.
ⓒ 비린내가 거의 없는 진품콩과 진품콩 2호가 개발되었으며, 두유용의 두유콩도 개발되어 장려 품종으로 재배된다.
㉡ 밥밑콩 : 밥에 섞어 먹는 데 알맞다.
ⓐ 종실이 굵어 100립중은 20g 이상, 알칼리 붕괴도가 높고 흡수 팽창도가 크며 환원당 함량이 많은 주로 여름콩의 유색 품종이 좋다.
ⓑ 씨알이 20g 이상으로 굵고 흡수팽창도 크고 취반시 잘 물러야 하며 맛이 좋아야 한다.
㉢ 기름콩 : 기름짜기에 알맞다. 지유 함량이 17~20, 25%까지 높을수록 좋으며 소립이고 입색이 진하며 광택이 있고 제색이 높은 18g 이하가 좋다.
ⓐ 콩기름 생산에 쓰이는 품종들이다.
ⓑ 세계 식용유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콩기름이다.
ⓒ 우리나라에서는 값싼 원료콩을 전량 수입하여 가공해왔기 때문에 기름용 품 종이 없다.
ⓓ 소출이 많고 지방 함량이 높아야 하며, 씨알이 18g 이하 소립종으로 잘아야 한다.
㉣ 나물콩(쥐눈이콩) : 콩나물 재배형으로 알맞다. 입색은 황색~녹색으로 담색인 것이 좋고 소립종으로서 100립중이 14g 이하인 것이 알맞다.
ⓐ 콩나물은 암흑조건에서 싹을 키워 콩나물을 생산하기 위한 품종을 말한다.
ⓑ 콩알이 작을수록 원료콩에 비해 생산되는 콩나물의 수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유리하다.
㉤ 풋베기콩 : 풋베기용으로 많이 이용된다. 종실, 잎, 줄기의 생장이 무성하며 풋 베기 수량이 많고 씨알이 잘아서 종자량이 적은 것이 알맞다.
3. 벼에서 종실의 형태와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왕겨는 내영과 외영으로 구분되며, 외영의 끝에는 까락이 붙어 있다.
② 과피는 왕겨에 해당하고, 종피는 현미의 껍질에 해당한다.
③ 현미는 배, 배유 및 종피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④ 유근에는 초엽과 근초가 분화되어 있다.
(해설) ④ 씨눈(유아)에는 초엽과 유근(어린뿌리)에는 종근과 이를 보호할 근초가 분화되어 있다.
4. 벼의 생육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볍씨가 발아하려면 건물중의 30~35% 정도 수분을 흡수해야 한다.
② 우리나라에서 재배하던 통일형 품종은 일반 온대자포니카 품종보다 휴면이 다소 강하다.
③ 모의 질소함량은 제4,5본엽기에 가장 낮고, 그 후에는 증가하면서 모가 건강해진다.
④ 벼 잎의 활동기간은 하위엽일수록 짧고, 상위엽일수록 길다.
(해설) ③ 모의 질소함량은 제4,5본엽기에 가장 높고, 그 후에는 감소하면서 C/N율이 높아져 모가 건강해진다.
① 볍씨가 발아하려면 건물중의 30~35% 정도 수분을 흡수해야 한다.
② 우리나라에서 재배하던 통일형 품종은 일반 온대자포니카 품종보다 휴면이 다소 강하다.
④ 벼 잎의 활동기간은 하위엽일수록 짧고, 상위엽일수록 길다.
① 볍씨가 발아하려면 건물중의 30~35% 정도 수분을 흡수해야 한다.
② 우리나라에서 재배하던 통일형 품종은 일반 온대자포니카 품종보다 휴면이 다소 강하다.
④ 벼 잎의 활동기간은 하위엽일수록 짧고, 상위엽일수록 길다.
5. 벼의 건답직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출아일수는 담수직파에 비해 길다.
② 담수직파에 비해 논바닥을 균평하게 정지하기 곤란하다.
③ 결실기에 도복발생이 담수직파에 비해 많이 발생된다.
④ 담수직파보다 잡초발생이 많다.
(해설) ③ 건답직파는 복토를 하므로 뜸모가 없고 도복발생이 담수직파 보다 감소한다. 반면, 담수직파는 벼 종자가 깊이 심어지지 못하므로 뿌리기 얕게 분포하고 약하여 결실기에 도복되기 쉽다.
※ 건답직파의 단점 ※
① 출아일수가 10~15일로서 담수직파의 경우(5~7일)에 비해 길다.
② 담수직파에 비해 물이 없으므로 논바닥을 균평하게 정지하기 곤란하다.
③ 건답직파는 복토를 하므로 뜸모가 없고 도복발생이 담수직파 보다 감소한다. 반면, 담수직파는 벼 종자가 깊이 심어지지 못하므로 뿌리기 얕게 분포하고 약하여 결실기에 도복되기 쉽다.
④ 담수직파보다 잡초발생이 많다.
⑤ 비가 올 때는 파종이 어렵고 발아도 불량하다.
⑥ 논흙의 흙덩이를 잘게 쇄토해야 발아가 잘되므로 쇄토노력이 많이 든다.
⑦ 써레질을 안 하므로 용수량이 많이 소요된다.
⑧ 새의 피해가 있다.
※ 건답직파의 단점 ※
① 출아일수가 10~15일로서 담수직파의 경우(5~7일)에 비해 길다.
② 담수직파에 비해 물이 없으므로 논바닥을 균평하게 정지하기 곤란하다.
③ 건답직파는 복토를 하므로 뜸모가 없고 도복발생이 담수직파 보다 감소한다. 반면, 담수직파는 벼 종자가 깊이 심어지지 못하므로 뿌리기 얕게 분포하고 약하여 결실기에 도복되기 쉽다.
④ 담수직파보다 잡초발생이 많다.
⑤ 비가 올 때는 파종이 어렵고 발아도 불량하다.
⑥ 논흙의 흙덩이를 잘게 쇄토해야 발아가 잘되므로 쇄토노력이 많이 든다.
⑦ 써레질을 안 하므로 용수량이 많이 소요된다.
⑧ 새의 피해가 있다.
6. 고구마에서 비료요소의 비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질소과다는 괴근의 형성과 비대를 저해한다.
② 고구마는 인산의 흡수량이 적으므로 비료로서의 요구량도 적다.
③ 고구마 재배에서 칼리는 요구량이 가장 많고 시용효과도 가장 크다.
④ 질소가 부족하면 잎이 작아지고 농녹색으로 되며 광택이 나빠진다.
(해설) ④ 칼륨이 부족하면 잎이 작아지고 농녹색으로 되며 광택이 나빠진다.
7. 볍씨의 발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일반적으로 발아 최저온도는 8~10℃, 최적온도는 30~32℃ 이다.
② 종자의 수분함량은 효소활성기 때 급격하게 증가한다.
③ 볍씨는 무산소 조건하에서도 발아를 할 수 있다.
④ 암흑조건 하에서 발아하면 중배축이 도장한다.
(해설) ② 종자의 수분함량은 발아초기 수분을 물리적으로 메트릭포텐셜에 의하여 흡수하는 시기로서, 온도의 영향은 크지 않으며, 발아에 필요한 수분함량에 달할 때까지 급격하게 증가(급속히 진행)한다.
8. 벼의 광합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벼는 대체로 18~34℃의 온도범위에서 광합성량에 큰 차이가 있다.
② 미풍 정도의 적절한 바람은 이산화탄소 공급을 원활히 하여 광합성을 증가시킨다.
③ 벼는 이산화탄소 농도 300 ppm에서 최대광합성의 45% 수준이지만, 2,000 ppm이 넘어도 광합성은 증가한다.
④ 벼 재배시 광도가 낮아지면 온도가 낮은 쪽이 유리하고, 35℃ 이상의 온도에서는 광도가 높은 쪽이 유리하다.
(해설) ② 미풍 정도의 적절한 바람은 이산화탄소 공급을 원활히 하여 광합성을 증가시킨
다.
① 벼는 대체로 18~34℃의 온도범위에서 광합성량에 큰 차이가 없다. 이는 온도가 높아질수록 진정 광합성량은 증가하며, 호흡량도 이에 다라 커지기 때문이다.
③ 벼는 이산화탄소 농도 300 ppm에서 최대광합성의 45% 수준이지만, 2,000 ppm이 넘으면 광합성이 더 이상 증가 하지 않는다.
④ 벼 재배시 광도가 낮아지면 온도가 높은 쪽이 유리하고, 35℃ 이상의 온도에서는 광도가 낮은 쪽이 유리하다.
다.
① 벼는 대체로 18~34℃의 온도범위에서 광합성량에 큰 차이가 없다. 이는 온도가 높아질수록 진정 광합성량은 증가하며, 호흡량도 이에 다라 커지기 때문이다.
③ 벼는 이산화탄소 농도 300 ppm에서 최대광합성의 45% 수준이지만, 2,000 ppm이 넘으면 광합성이 더 이상 증가 하지 않는다.
④ 벼 재배시 광도가 낮아지면 온도가 높은 쪽이 유리하고, 35℃ 이상의 온도에서는 광도가 낮은 쪽이 유리하다.
9. 벼의 생육기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육묘기부터 신장기까지를 영양생장기라고 한다.
② 고온ㆍ단일 조건에서 가소영양생장기는 길어진다.
③ 모내기 후 분얼수가 급증하는 시기를 최고분얼기라고 한다.
④ 출수 10~12일 전부터 출수 직전까지는 수잉기라고 한다.
(해설) ④ 출수 10~12일 전부터 출수 직전까지는 수잉기라고 한다.
① 육묘기부터 유수분화직전까지를 영양생장기라고 한다.
② 고온ㆍ단일 조건에서 가소영양생장기는 짧아지고, 저온ㆍ장일조건에서는 길어진다.
③ 모내기 후 분얼수가 급증하는 시기를 분얼최성기라고 한다.
① 육묘기부터 유수분화직전까지를 영양생장기라고 한다.
② 고온ㆍ단일 조건에서 가소영양생장기는 짧아지고, 저온ㆍ장일조건에서는 길어진다.
③ 모내기 후 분얼수가 급증하는 시기를 분얼최성기라고 한다.
10. 콩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콩은 고온에 의하여 개화일수가 단축되는 조건에서는 개화기간도 단축되고 개화수도 감소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② 자연포장에서 한계일장이 짧은 품종일수록 개화가 빨라지고 한계일장이 긴 품종일수록 개화가 늦어진다.
③ 가을콩은 생육초기의 생육적온이 높고 토양의 산성 및 알칼리성 또는 건조 등에 대한 저항성이 큰 경향이 있다.
④ 먼저 개화한 것의 꼬투리가 비대하는 시기에 개화하게 되는 후기개화의 것이 낙화하기 쉽다.
(해설) ② 자연포장에서 한계일장이 짧은 품종일수록 늦게 일장반응이 일어나 개화가 늦어지고, 한계일장이 긴 품종일수록 일찍 일장반응이 일어나 개화가 빨라진다.
11. 옥수수의 출수 및 개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일반적으로 웅성선숙이다.
② 수이삭의 개화기간은 7~10일이다.
③ 암이삭의 수염추출은 수이삭의 개화보다 3~5일 정도 빠르다.
④ 암이삭의 수염은 중앙 하부로부터 추출되기 시작하여 상하로 이행된다.
(해설) ③ 암이삭의 수염추출은 수이삭의 개화보다 3~5일 정도 늦다.
12. 땅콩의 종합적 분류에 있어서 초형, 종실의 크기, 지유함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발렌시아형의 초형은 입성이고, 종실의 크기는 작으며, 지유함량은 많다.
② 버지니아형의 초형은 입성ㆍ포복형이고, 종실의 크기는 크며, 지유함량은 적다.
③ 사우스이스트러너형의 초형은 포복성이고, 종실의 크기는 작으며, 지유함량은 많다.
④ 스페니쉬형 초형은 입성이고, 종실의 크기는 크며, 지유함량은 적다.
(해설) ④ 스페니쉬형 초형은 입성이고, 종실의 크기는 작으며, 지유함량은 많다.
13. 맥류에서 흙넣기의 생육상 효과로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수발아
② 잡초억제
③ 도복방지
④ 무효분얼 억제
(해설) ① 수발아
< 참 조>
③ 흙넣기(토입) : 초겨울이나 이른 봄에 김매기를 하면서 이랑의 흙을 파서 1cm 이하로 얕게 보리골에 넣어주는 작업이며, 효과는 실시시기, 실시횟수, 실시방법, 환경에 따라 다르다.
㉠ 흙넣기의 효과
ⓐ 월동을 조장한다 : 월동 전 생육 초기에 실시하면 복토를 보강하여 어린 싹들을 추위와 건조로부터 보호함으로써 월동을 조장한다.
ⓑ 월동 후의 생육을 조장한다 : 뿌리의 고정 및 발달과 생육을 조장하고 잡초의 발생을 억제하기도 한다.
ⓒ 무효분얼을 억제한다 : 3월 하순~4월 상순에 2~3cm 깊이의 흙넣기를 하면 무효분얼이 억제된다.
ⓓ 도복이 적어지고 통풍과 일조가 양호해져 생육이 왕성해지게 된다. : 대가 상당히 자란 뒤 3~6cm로 흙을 깊게 넣어준다.
㉡ 북주기와 흙넣기의 단점 :
뿌리골 사이를 깊게 파면 작업이 어렵고 뿌리가 잘리기 쉬우며, 뿌리층 토양의 수분이 부족하게 되어 해로운 경우도 있으므로 흔히 실시하지 않는다.
< 참 조>
③ 흙넣기(토입) : 초겨울이나 이른 봄에 김매기를 하면서 이랑의 흙을 파서 1cm 이하로 얕게 보리골에 넣어주는 작업이며, 효과는 실시시기, 실시횟수, 실시방법, 환경에 따라 다르다.
㉠ 흙넣기의 효과
ⓐ 월동을 조장한다 : 월동 전 생육 초기에 실시하면 복토를 보강하여 어린 싹들을 추위와 건조로부터 보호함으로써 월동을 조장한다.
ⓑ 월동 후의 생육을 조장한다 : 뿌리의 고정 및 발달과 생육을 조장하고 잡초의 발생을 억제하기도 한다.
ⓒ 무효분얼을 억제한다 : 3월 하순~4월 상순에 2~3cm 깊이의 흙넣기를 하면 무효분얼이 억제된다.
ⓓ 도복이 적어지고 통풍과 일조가 양호해져 생육이 왕성해지게 된다. : 대가 상당히 자란 뒤 3~6cm로 흙을 깊게 넣어준다.
㉡ 북주기와 흙넣기의 단점 :
뿌리골 사이를 깊게 파면 작업이 어렵고 뿌리가 잘리기 쉬우며, 뿌리층 토양의 수분이 부족하게 되어 해로운 경우도 있으므로 흔히 실시하지 않는다.
14. 보리의 파종이 늦어졌을 때의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파종량을 늘린다.
② 최아하여 파종한다.
③ 골을 낮추어 파종한다.
④ 추파성이 높은 품종을 선택한다.
(해설) ④ 추파성이 낮은 품종을 선택한다.
15. 벼 품종의 주요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조생종은 생육기간이 짧은 고위도 지방에 재배하기 알맞다.
② 동남아시아 저위도 지역에는 기본영양생장성이 작은 품종이 분포한다.
③ 묘대일수감응도는 감온형이 높고 감광형ㆍ기본영양생장형은 낮다.
④ 만생종은 감온성에 비해 감광성이 크다.
(해설) ② 동남아시아 저위도 지역에는 기본영양생장성이 큰 품종이 분포한다.
16. 메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서리에는 약하나 생육기간이 짧으며 서늘한 기후에 잘 적응한다.
② 수정은 타화수정을 하며, 이형화 사이의 수분을 적법수분이라고 한다.
③ 동일품종에서도 장주화와 단주화가 섞여 있는 이형예현상이 나타난다.
④ 생육적온은 17~20℃이고, 일교차가 작은 것이 임실에 좋다.
(해설) ④ 생육적온은 21~31℃이고, 일교차가 큰 것이 임실에 좋다.
17. 감자의 성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비타민 A보다 비타민 B와 C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② 괴경의 비대와 더불어 환원당은 감소되고 비환원당은 증가한다.
③ 감자의 솔라닌은 내부보다 껍질과 눈 부위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④ 괴경 건물 중 14~26%의 전분과 2~10%의 당분이 함유되어 있다.
(해설) ④ 괴근(고구마 덩이뿌리)에는 건물 중 14~26%의 전분과 2~10%의 당분이 함유되어 있다.
① 비타민 A보다 비타민 B와 C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② 괴경의 비대와 더불어 환원당은 감소되고 비환원당은 증가한다.
③ 감자의 솔라닌은 내부보다 껍질과 눈 부위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① 비타민 A보다 비타민 B와 C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② 괴경의 비대와 더불어 환원당은 감소되고 비환원당은 증가한다.
③ 감자의 솔라닌은 내부보다 껍질과 눈 부위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18. 감자의 형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줄기의 지하절에는 복지가 발생하고 그 끝이 비대하여 괴경을 형성한다.
② 감자의 뿌리는 비교적 심근성이고, 처음에는 수직으로 퍼지다가 나중에는 수평으로 뻗는다.
③ 괴경에는 눈이 많이 있는데 특히 기부보다 정부에 많다.
④ 감자의 과실은 장과에 속하고 지름이 3cm 정도이다.
(해설) ② 감자의 뿌리는 비교적 얕게 퍼지는 천근성이고, 처음에는 수직으로 퍼지다가 나중에는 수평으로 뻗는다.
19. 바이러스에 의한 병이 아닌 것은?
① 감자 더뎅이병
② 보리 황화위축병
③ 벼 줄무늬잎마름병
④ 옥수수 검은줄오갈병
(해설) ① 감자 더뎅이병은 원인균은 방선균이다. 또는 세균이다.
② 보리 황화위축병(줄무늬오갈병)의 원인균은 바이러스다.
③ 벼 줄무늬잎마름병의 원인균은 바이러스다.
④ 옥수수 검은줄오갈병의 원인균은 바이러스다.
② 보리 황화위축병(줄무늬오갈병)의 원인균은 바이러스다.
③ 벼 줄무늬잎마름병의 원인균은 바이러스다.
④ 옥수수 검은줄오갈병의 원인균은 바이러스다.
20. 밭 작물의 비료 시비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무경운시비는 작업이 어렵지만 비료의 유실이 적은 편이다.
② 파종별시비를 할 때는 종자에 비료가 직접 닿지 않게 해야 한다.
③ 전면시비는 밭을 갈고 전체적으로 비료를 시비한 후 흙을 곱게 부수어 준다.
④ 엽면시비는 미량요소를 공급하거나 빠르게 생육을 회복시켜야 할 때 사용된다.
(해설) ① 무경운시비는 작업이 쉽(용이)하지만 비료의 유실이 큰(많은) 편이다.
※ 문제 원본 (A책형)
※ 최종답안 (A책형)
문제 1 | 문제 2 | 문제 3 | 문제 4 | 문제 5 |
3 | 4 | 1 | 4 | 2 |
문제 6 | 문제 7 | 문제 8 | 문제 9 | 문제 10 |
4 | 4 | 2 | 1 | 1 |
문제 11 | 문제 12 | 문제 13 | 문제 14 | 문제 15 |
3 | 1 | 4 | 3 | 3 |
문제 16 | 문제 17 | 문제 18 | 문제 19 | 문제 20 |
4 | 2 | 2 | 4 | 2 |
문제 HWP 다운로드
문제 PDF 다운로드
정답 HWP 다운로드
정답 PDF 다운로드
댓글 쓰기